승전 ()

목차
불교
인물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에서 화엄학에 정통한 승려.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에서 화엄학에 정통한 승려.
내용

그의 내력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찍이 중국에 건너가 화상 법장(法藏) 밑에서 화엄학을 배우고 효소왕(孝昭王)초에 귀국하였다. 귀국할 때 법장이 동문 선배인 의상(義湘)에게 전하는 「당법장치신라의상서(唐法藏致新羅義湘書)」와 『탐현기(探玄記)』·『교분기(敎分記)』·『현의장(玄義章)』 등 많은 저술을 가지고 왔다.

이것은 한국과 중국 사이의 문화교류사 및 불교교류사에 있어서 큰 의의를 지닌 주목할만한 사실이다. 그뒤 그는 상주 영내 개령군(開寧郡) 경계에 절을 짓고 돌로 청중을 삼아 『화엄경』을 개강하였다. 가귀(可歸)가 지은 「심원장(心源章)」에 의하면 승전이 돌무리를 거느리고 불경을 강의한 곳이 경상북도 김천시 갈항사(葛項寺)라 한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
『원종문류(圓宗文類)』
『한국금석전문』(허흥식, 아세아문화사,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