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 부곡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옛 시흥군 군포읍 부곡리)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생활과 매장 유적.
유적
건립 시기
청동기시대∼조선시대
관련 국가
백제
소재지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옛 시흥군 군포읍)
내용 요약

시흥부곡리유적은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옛 시흥군 군포읍 부곡리)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생활과 매장 유적이다. 1960년대와 1980년대 조사에서 백제시대 취락 유구가 조사된 이래 2005~2006년 군포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한 발굴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전기 장방형 주거지를 비롯하여 백제시대 토광묘 다수와 고려~조선시대에 이르는 생활 유적과 분묘 유적 등이 확인되었다.

정의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옛 시흥군 군포읍 부곡리)에 있는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생활과 매장 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시흥부곡리유적(始興富谷里遺蹟)이 자리한 곳은 현재 행정구역상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옛 시흥군 군포읍 부곡리) 일원에 해당한다. 부곡동은 군포시 남동쪽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의왕시와 잇닿아 있다. 북쪽에 영동고속도로, 동쪽에 경부고속도로, 서쪽에 서해안고속도로가 나 있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이 일대는 해발 70m 이내의 잔구성 언덕과 충적지로 이루어져 고대 사람들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지형적 특징을 띠고 있다.

시흥부곡리유적은 신갈∼안산 간 순환고속도로 건설 예정지역에 대한 지표 조사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어 1988년 6∼7월에 발굴 조사되었고, 2005년 10월부터 2006년 3월까지 군포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한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다.

1980년대 조사에서는 백제시대 야외 화덕 1개가 확인되었고, 유적이 위치한 능선 고지대에서 흘러내려 쌓인 것으로 보이는 백제시대 토기 조각이 다수 발견되었다. 백제시대 생활 유적이 얕은 언덕에 자리하는 특성을 감안할 때 시흥부곡리유적 역시 당시 발굴 조사된 지점보다 위쪽에 백제 취락이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2005년과 2006년에 실시된 발굴 조사에서는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구들이 발견되었다. 그중에는 이 일대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한성 백제시대 주1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형태와 특징

발굴된 유구는 청동기시대 전기의 장방형 주거지 1기, 백제시대 널무덤 19기와 주2 4기, 고려~조선시대 분묘 17기, 그 밖에 조선시대 주거지 12기와 건물지 1기, 기와가마 1기, 숯가마 3기 등 다양하다. 유물은 겹아가리짧은빗금무늬의 주3, 짧은목항아리 등의 백제 토기와 큰 칼, 쇠낫 등 철기류, 주4 조각과 백자 조각 등이 다량 출토되었다.

의의 및 평가

시흥부곡리유적에서는 이른 시기의 청동기시대 주거지를 비롯하여 백제~조선시대에 이르는 생활 유적과 분묘 유적 등 오랜 기간 사람들이 점유하였던 흔적이 확인되었다.

특히 새롭게 발견된 백제시대 널무덤은 근래 화성시와 용인시, 오산시 등 경기도 남부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굴되고 있는 널무덤과 계통을 같이하는 것으로, 서울석촌동고분군을 중심으로 하는 백제 중앙 세력과 대별되는 지역 집단의 존재를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군포 부곡택지개발지구 내 군포 부곡동유적』(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판교(板橋)∼구리(九里) · 신갈(新葛)∼반월간고속도로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半月間高速道路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 「시흥부곡리유적발굴조사보고(始興富谷里遺蹟發掘調査報告)」(충남대학교박물관, 1988)
주석
주1

구덩이를 파고 시체를 직접 넣거나 목관이나 목곽에 시체를 넣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린 무덤.    우리말샘

주2

시체를 큰 독이나 항아리 따위의 토기에 넣어 묻는 무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인 무덤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 시대부터 쓰여 지금까지도 일부 섬 지방에서 쓰이는데, 하나의 토기만을 이용하기도 하고 두 개 또는 세 개를 이용하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3

청동기 시대에 사용한 무늬 없는 토기. 지역에 따라 팽이형 토기, 미송리식 토기, 화분형 토기 따위가 있으며 빛깔은 붉은 갈색이다.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만든 자기의 하나. 청자에 백토(白土)로 분을 발라 다시 구워 낸 것으로, 회청색 또는 회황색을 띤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