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원 도화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도화리 남한강변에 있는 백제시대 초기 영역을 보여 주는 무기단식 돌무지무덤.
유적
건립 시기
삼국시대 초기
관련 국가
백제
높이
4~5m
길이
30m
소재지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도화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제원도화리유적(堤原桃花里遺蹟)은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도화리 남한강변에 있는 백제시대 초기 영역을 보여 주는 무기단식 돌무지무덤이다. 남한강변 충적 대지의 모래언덕에 자리하며 길이 30m, 너비 24m의 타원형에 4~5m 가량이 남아 있다. 돌무지 상부의 석곽에서 사람의 뼈와 쇠칼, 백제 토기류와 철기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3세기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고구려에서 영향을 받은 돌무지무덤 계열의 무덤이 백제만의 특징적인 형식으로 발전한 것으로 생각되며, 초기 백제 영역화의 근거로 인식되기도 한다.

정의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도화리 남한강변에 있는 백제시대 초기 영역을 보여 주는 무기단식 돌무지무덤.
발굴경위 및 결과

제원도화리유적은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도화리의 남한강변에 있는 돌무지무덤으로, 1983년 서울대학교박물관에서 충주댐 수몰지구 내 유적을 조사하면서 발굴되었다.

형태와 특징

무덤은 남한강을 따라 형성된 충적 대지의 자연 모래언덕 위에 축조되었다. 분구(墳丘: 시신을 매장할 무덤을 보호하기 위해 언덕처럼 흙을 쌓아 올린 것)는 길이 30m, 너비 24m의 남동-북서향에 잔존 높이 4~5m 가량 되었다.

발굴 조사 보고서에는 호석(護石)이 둘러 있는 3단의 기단식 돌무지무덤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분구의 제일 윗단에 3겹 정도 돌무지가 남아 있을 뿐 계단을 조성한 흔적은 뚜렷하지 않다. 그래서 이 무덤을 기단이 없는 무기단식 돌무지무덤 혹은 서울석촌동고분군에서 발굴된 적이 있는 흙무덤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시신이 안치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매장 주체부로는 돌무지 상부에서 280×240×40㎝ 크기의 석곽(石槨) 1기가 확인되었는데, 그 안에서 사람의 뼈와 쇠칼 1점이 출토되었다.

이 밖에 분구 조사 과정에서 경질민무늬토기와 타날문(打捺紋) 짧은목항아리, 창, 도끼, 끌 등의 철기류, 청동으로된 반지, 팔찌 등과 대롱옥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유물의 연대로 볼 때 이 무덤은 늦어도 3세기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 및 평가

돌무지무덤 계열의 무덤은 고구려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는데, 고구려 돌무지무덤은 형식상 무기단식에서 기단식, 계단식, 계단식 돌방 돌무지무덤으로 변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백제의 경우에는 서울석촌동고분군 3호분이나 2 · 4호분과 같이 명확히 계단이 있는 형식과 강돌을 이용한 무기단식의 두 가지 종류만 확인되고 있다.

후자의 경우는 도화리와 인접한 제천 양평리, 평창 응암리 등의 남한강 유역과 화천군 간척리 · 위라리, 춘천 신매리와 중도, 양평 문호리 등의 북한강 유역, 그리고 연천 삼곶리와 학곡리, 횡산리 등 임진강 유역의 강변 사구(沙丘) 지형에서 주로 발견되었다. 최근에는 광주 장지동유적에서 벌집과 같은 형태의 연접형 돌무지무덤이 발굴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형식의 돌무지무덤은 고구려에서 영향을 받기는 하였으나, 백제만의 특징적인 형식으로 발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한강 상류역에서부터 서울 풍납동 토성과 같은 하류역은 물론 임진 · 한탄강 유역 등지에서 고르게 발견되고 있는 ‘呂 · 凸’자형 주거지와 함께 백제 초기의 영역을 보여 주는 결정적 지표로 인식되어 날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참고문헌

논문

심재연, 「한성백제기 한강 중 · 상류 지역의 적석총에 대한 연구」(『서울학연구』 49,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2010)
이동희, 「최신 연구성과로 본 한강 · 임진강유역 적석총의 성격」(『한국사학보』 32, 고려사학회, 2008)

기타 자료

『연천 학곡리 적석총 –연천 학곡제 개수공사지역 내 발굴조사 보고서-』(기전문화재연구원, 2004)
『연천 삼곶리 백제적석총 발굴보고서』(국립문화재연구소, 1994)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 발굴조사종합보고서 –고고 · 고분분야(Ⅰ)』(충북대학교박물관,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