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신사 (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유적
일본 후쿠이현[福井縣] 난조군[南條郡] 미나미에치젠조[南越前町] 이마조[今庄]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관련 신을 모시는 신사(神社). 사당.
유적
소재지
일본 후쿠이현[福井縣] 난조군[南條郡] 미나미에치젠조[南越前町] 이마조[今庄]
내용 요약

신라 신사란 일본 후쿠이현[福井縣] 난조군[南條郡] 미나미에치젠조[南越前町] 이마조[今庄]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관련 신을 모시는 신사(神社)이다. 주신(主神)인 스사노오노미코토[素盞鳴命]를 비롯한 오호아나무치노미코노[大已貴命] 이외에 4명의 신을 모시고 있다. 이 신사의 건립 시기는 분명하지 않다. 과거에는 축산(燧山)에 있었으나 덴몬[天文] 연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1627년 영주인 마쓰다이라 다다마사[松平忠昌]에 의해 사전(社殿)이 재건되고, 1871년에는 시라히게 신사에 합병되나 1875년에는 다시 분리되었다.

목차
정의
일본 후쿠이현[福井縣] 난조군[南條郡] 미나미에치젠조[南越前町] 이마조[今庄]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관련 신을 모시는 신사(神社). 사당.
역사적 변천

주1의 건립 시기는 분명하지 않다. 과거에는 축산(燧山)에 있었으나 덴몬[天文] 연간(1532∼1554)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그리고 1627년에 이 지역의 봉건 영주인 마쓰다이라 다다마사[松平忠昌]에 의해 사전(社殿)이 재건되었다. 그러나 1871년에는 같은 지역의 시라히게신사[白鬚神社]에 합병되었다. 그 뒤 1875년에는 다시 분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2에 대한 제사는 매년 5월 8일에 정기적으로 치러지고 있다.

내용

일본어로는 시라기진자라고 한다. 현재 모시고 있는 주7은 스사노오노미코토[素盞鳴命]를 비롯한 오호아나무치노미코노[大已貴命] 이외에 4명의 신이다. 그중 주3은 스사노오노미코토이다. 927년에 성립된 『연희식(延喜式)』이라는 문헌에는 시라기히코신사[信露貴彦神社]로 표기되어 있다.

『일본서기』에 이 신사의 주신인 스사노오노미코토가 그의 아들인 이타케루노미코토[五十猛命]와 함께 신라의 소시모리[曾尸茂梨]라는 곳에 있다가 일본으로 건너갔다는 내용의 설화가 있다. 이처럼 스사노오노미코토는 신라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신이다. 주4에 의하면 그의 본래 고향은 신라라는 견해도 있다.

이 신사와 같은 이름의 신사가 이곳 이외에 기후현[岐阜縣]의 도키군[土岐郡]에도 있으며, 또 효고현[兵庫縣] 히메지시[姬路市]의 아케다[明田]에도 있다. 기후현에 있는 신라 신사의 제신은 하치만대신[八幡大神] · 하치오지신[八王子神] · 스사노오노미코토이며, 효고현에 있는 신라 신사의 제신은 신라대명신(新羅大明神)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일본 아오모리현[靑森縣] 하치노헤시[八戶市] 토츠카지[糖塚字]에 있는 신라 신사는 기온사(祈園社)라고도 한다. 1678년(숙종 4) 9월 하치노헤[八戶]의 영주(領主)였던 미나베 나오마사[南部直政]가 시라기사부로 요시미쓰[新羅三郎義光]를 주6의 수호신으로서 장자산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는데, 헤이안시대의 무장 미나모토가 신라의 신라선신(新羅善神)을 신앙하여 자신의 아들을 시라기사부로 요시미스라 불렀다.

또한 일본 시가현[滋賀縣] 오스시[大津市]에 있는 신라선신당(新羅善神堂)은 남북국시대 승려 지증대사(智證大師) 원진(圓珍)이 창건한 사당으로 역시 신라 신사라고도 한다. 헤이안시대 무장인 미나모토, 그 밖에도 신라의 일본식 발음인 ‘시라기’라는 이름으로 신사명을 사용하는 경우의 예는 스루가[敦賀]의 구스미[沓見]에 시라기신사[信露貴神社]가 있고, 또 와카사[若狹]에도 시라기신사[白城神社]가 있다. 후쿠오현[福岡縣] 등지에서는 시라기신사[白木神社]라는 이름으로도 산재해 있다는 것이다.

이상에서처럼 일본에서 신라 신사를 표현할 때 직접 그 한자 표기를 하는 경우 이외에도 일본식 발음 표기인 신로귀(信露貴) · 백목(白木) · 백성(白城) 등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연희식(延喜式)』
『일본서기(日本書紀)』

단행본

關晃, 『歸化人』(至文堂,1966)
今井啓一, 『歸化人』(綜藝舍,1974)
金達壽, 『日本古代史と朝鮮文化』(筑摩書房,1976)
段熙麟, 『日本に殘る古代朝鮮』(創元社,1976)
段熙麟, 『日本に殘る古代朝鮮』(創元社, 1976)
『日本歷史地名大系』(平凡社, 1979)
中村新太郎, 『日本と朝鮮の二千年』(東邦出版,1981)
金達壽·上田正昭·司馬遼太郞 編, 『日本の朝鮮文化』(中央公論社, 1982)
金達壽, 『日本の中の朝鮮文化』(講談社,1984)

논문

杖山正雄, 「朝鮮關係神社故」(『朝鮮學報』, 朝鮮學會,1968)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일본에서 왕실의 조상이나 고유의 신앙 대상인 신 또는 국가에 공로가 큰 사람을 신으로 모신 사당. 우리말샘

주2

제사로 모시는 신. 우리말샘

주3

제단에 모신 신 가운데 주체가 되는 신. 우리말샘

주4

어떤 하나의 주장이나 학설. 우리말샘

주6

국가의 통치권이 미치는 구역의 안. 우리말샘

주7

제사로 모시는 신.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