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지장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수행의 두 가지 장애 가운데 번뇌장과 함께 탐진치로 업의 속박에 머물게 하는 장애를 가리키는 불교 용어. 지장.
이칭
이칭
지장(智章)
내용 요약

소지장(所知章)이란 알아야만 하는 대상인 진여, 법성에 대한 앎을 방해하는 장애를 가리키는 불교 용어이다. 대승불교에서 소지장은 번뇌장과 짝을 이루어 등장하는데, 번뇌장은 아집에 의해 생기하며 소지장은 법집에 의해 생기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 중 번뇌장을 끊으면 해탈을 얻게 되고 소지장을 끊으면 일체지성을 얻게 된다.

목차
정의
수행의 두 가지 장애 가운데 번뇌장과 함께 탐진치로 업의 속박에 머물게 하는 장애를 가리키는 불교 용어. 지장.
참고문헌

원전

『이장의(二章義)』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단행본

논문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석가모니 입적 뒤 백 년부터 수백 년 사이에 원시 불교가 분열을 거듭하여 20여 개의 교단으로 갈라진 시대의 불교. 독자적인 교의(敎義)를 전개하여 뒤에 유식 사상(唯識思想)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내용은 소승 불교와 같다. 우리말샘

주2

불교의 소승론부에 속하는 불서(佛書). 불멸 후 400년경에 카니슈카왕이 500성자를 모아 삼장(三藏)을 결집시켰을 때에 가다연니자의 발지론(發智論)을 주석한 책으로 중국 당나라 현장(玄奘)의 한역(漢譯)이 있다. 200권. 우리말샘

주3

자기중심의 좁은 생각에 집착하여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입장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자기만을 내세우는 것. 우리말샘

주4

오온(五蘊)이 한 방편으로 화합하여 된 인간 존재에는 참다운 본체인 실아(實我)가 없다는 말. 우리말샘

주5

모든 법인 만유(萬有)는 인연이 모여 생긴 일시적인 존재이므로 참다운 본체가 없음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부처의 가르침에 의하지 않고 홀로 수행하여 깨달음을 얻음. 또는 그런 사람. 우리말샘

주7

번뇌의 얽매임에서 풀리고 미혹의 괴로움에서 벗어남. 본디 열반과 같이 불교의 궁극적인 실천 목적이다. 유위(有爲) 해탈, 무위(無爲) 해탈, 성정(性淨) 해탈, 장진(障盡) 해탈 따위로 나누어진다. 우리말샘

주8

사기답의 하나. 교리를 강론할 때에 연사가 질문 내용을 분석하여 맞고 틀린 것을 가려서, 그렇다거나 아니라고 대답하는 방식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9

사랑과 미움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0

태어날 때부터 갖고 있는 선천적인 번뇌. 우리말샘

주11

자기의 감정이나 욕심, 충동 따위를 이성적 의지로 눌러 이김. 우리말샘

주12

이리저리 떠돌다. 우리말샘

주13

멀리 돌지 않고 가깝게 질러 통하는 길.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