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몸 · 입 · 뜻으로 짓는 말과 동작과 생각, 그리고 그 인과를 의미하는 불교교리.
내용 요약

업은 몸, 입, 뜻으로 짓는 말과 동작과 생각, 그리고 그 인과를 의미한다. 석가모니는 무지몽매한 인류 중생을 일깨우기 위하여 업 사상을 천명하였다. 정신으로 생각하는 작용인 의념(意念)이 뜻을 결정하고 선악을 짓게 하여 업이 생긴다. 의업은 사업(思業)과 사이업(思已業)으로 나누어진다. 사업은 뜻으로 활동하는 정신 내부의 의업이며, 사이업은 한번 뜻을 결정한 뒤 외부에 표현되는 신업(身業)과 구업(口業)이다. 곧 신, 구, 의 3업(三業)이라 한다. 석가모니는 업은 자연법칙적인 인과만이 아니라 인간 사회의 윤리성에 직결된다는 것을 간파하도록 하였다.

목차
정의
몸 · 입 · 뜻으로 짓는 말과 동작과 생각, 그리고 그 인과를 의미하는 불교교리.
내용

몸[身] · 입[口] · 뜻[意]으로 짓는 말과 동작과 생각, 그리고 그 인과를 의미함. 업은 짓는다는 뜻이다. 정신으로 생각하는 작용인 의념(意念)이 뜻을 결정하고 선악을 짓게 하여 업이 생긴다. 주1주2주3으로 나누어진다. 사업은 뜻으로 활동하는 정신 내부의 의업이며, 사이업은 한번 뜻을 결정한 뒤 외부에 표현되는 주4주5이다. 곧 신 · 구 · 의 3업(三業)이라 한다.

또 몸과 입으로 외부로 나타나 표현되는 주6이 있으며, 그 표업이 끝난 뒤에 밖으로는 표출되지 않아도 선업이나 악업을 상속하는 것을 무표업(無表業)이라고 한다. 그리고 업은 선업 · 악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십선업(十善業) · 십악업(十惡業)이 그것이며, 악업만을 단순히 업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업사상이 나타나게 된 데에는 배경이 있다. 인간은 의식을 기본으로 하여 여러 문화를 창조하여 왔다. 복잡다단한 인간역사는 의식의 전개과정이다. 석가모니무명(無明)에 사로잡힌 인류중생의 무지몽매를 일깨우기 위하여 업보(E0078325)윤회전생(輪廻轉生)[^7]의 업사상을 천명하였다. 당시 주8의 업이란 오직 유일절대 창조신인 주9에 대한 제사행위만을 바람직한 선업으로 보았다.

그리고 육사외도(六師外道)를 비롯한 당시 대부분 사상가 · 종교가들은 운명적 · 숙명적 인생관을 가지고 있어서 주10 · 쾌락주의 · 고행주의가 그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따라서 주체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업이 타력적 · 운명적 · 숙명적 사고로 파악되고 있었다.

이에 석가모니는 주11이 역학적 인과관계에 의하여, 인연화합(因緣和合)의 관계에서, 상의상관(相依相關)의 관계에서, 그 마음의 주체의지에 의하여 그 강약이 나타남을 깨우쳤다. 이를 통하여 허구적인 창조론과 숙명적 · 운명적 허무주의에서 탈피하고 자유로운 업력의 주체가 되도록 하였다. 특히, 인과응보의 교설과 더불어 업의 본질이나 분류에 관한 고찰이 심화되었고, 행위에 대한 주12로서의 업은 자연법칙적인 인과만이 아니라 인간사회의 윤리성에 직결된다는 것을 간파하도록 하였다.

즉, 인간가치판단의 기본적인 것으로서 업보를 나타낸 것이다. 인간은 몸과 말을 통한 두 가지 업이 행하여지고, 그 행위는 사람의 마음속에 무표업으로 남는다. 이와 같이 인간의 행하는 일이 그 사람의 마음을 성숙하게 하고 마음속에 남게 하는 것을 향기가 의복에 풍기게 하는 것에 비유하여 훈습(熏習)이라 칭한다.

선악업의 잠재여력은 욕망과 주13주14에 의하여 생긴다. 업이란 선악이고, 그 결과가 과보이다. 그 과보와 동질성의 주15가 잠재여력으로 남아 주16이 된다. 이것은 다시 주17주18으로 구분되는데, 공업은 생물이 공통으로 받는 업이고, 불공업은 개개생물, 즉 주19 세간(世間)에서의 자업자득과 주20를 의미한다.

그러나 곧 개업(個業)이 공업으로, 공업이 개업으로 연결되어 사회업(社會業)의 공존공영으로 인한 윤회전생의 순환은 끊임없이 계속된다. 따라서 불교에서는 사회와 개인이 결코 무관한 관계가 아님을 업을 통하여 인식시키고, 이와 같이 업을 파악하는 것이 깨달음의 첫 걸음이 됨을 강조하였다. 업은 일상생활의 굴레로서 회전하고 있다.

불교는 확실히 개개인의 주21을 추구하고, 주22은 유정(有情)의 생존에만 관계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생존, 예컨대 인간과 사회환경과의 상호의존관계까지도 추구하고 있다. 대승불교사상이 수립한 법계연기(法界緣起) · 무진연기(無盡緣起)는 시간적 관계에서 공간적 넓이를 가지고 추구된다. 불교의 업사상은 개인의 주23의 인과를 추구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회와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공업이 추구되고 있다.

참고문헌

「업(業)에 대한 고찰」(조용길, 『한국불교학』 5집, 한국불교학회, 1987)
주석
주1

삼업(三業)의 하나. 마음으로 하는 의지의 활동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2

마음에 여러 가지로 생각하는 일. 우리말샘

주3

마음속에 둔 생각이 밖으로 나타나 짓는 업. 동작으로 나타나는 신업(身業)과 말로 나타나는 구업(口業)이 있다. 우리말샘

주4

삼업(三業)의 하나. 몸으로 짓는 일체의 죄업으로 살생, 도둑질, 사음(邪淫) 따위이다. 우리말샘

주5

삼업(三業)의 하나. 말을 잘못하여 짓는 업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6

입과 몸으로 말하고 행동하는 일. 우리말샘

주7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 육도(三界六道)의 생사 세계를 그치지 아니하고 돌고 도는 일. 우리말샘

주8

인도의 토착 신앙과 브라만교가 융합한 종교 체계. 구원에 이르는 세 가지 길로 공덕, 지혜, 봉헌을 들고 있으며 사회 제도와의 연계가 특징이다. 우리말샘

주9

인도 신화에 나오는 최고신. 브라흐마, 비슈누, 시바의 삼신 일체를 통해 세상을 바라본다고 한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주10

만물의 근원을 물질로 보고, 모든 정신 현상도 물질의 작용이나 그 산물이라고 주장하는 이론. 이 학설은 고대 그리스의 원자론에서 비롯하였으며, 근대의 기계적ㆍ자연 과학적 또는 변증법적 유물론에 이르렀다. 우리말샘

주11

과보(果報)를 가져오는 업인의 큰 힘. 선업에는 낙과(樂果)를 일으키는 힘이 있고, 악업에는 고과(苦果)를 일으키는 힘이 있다. 우리말샘

주12

전생에 지은 선악에 따라 현재의 행과 불행이 있고, 현세에서의 선악의 결과에 따라 내세에서 행과 불행이 있는 일. 우리말샘

주13

매우 못나고 어리석음. 우리말샘

주14

십악의 하나. 자기 뜻이 어그러지는 것을 노여워함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15

습관으로 형성된 기운이나 습성. 우리말샘

주16

삼장(三障)의 하나. 말, 동작 또는 마음으로 지은 악업에 의한 장애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7

저마다 공동으로 선악의 업을 짓고 공동으로 고락(苦樂)의 인과응보를 받는 일. 우리말샘

주18

사람들이 제각기 다른 갚음을 받을 개별적인 행위. 우리말샘

주19

인정이나 동정심이 있음. 우리말샘

주20

자기가 저지른 죄로 자기가 그 악과(惡果)를 받음. 우리말샘

주21

번뇌의 얽매임에서 풀리고 미혹의 괴로움에서 벗어남. 본디 열반과 같이 불교의 궁극적인 실천 목적이다. 유위(有爲) 해탈, 무위(無爲) 해탈, 성정(性淨) 해탈, 장진(障盡) 해탈 따위로 나누어진다. 우리말샘

주22

연기를 중심으로 하는 불교 교리 체계. 아함종의 십이 연기(十二緣起), 구사종의 업감연기(業感緣起), 유식종의 뇌야연기(賴耶緣起), 화엄종의 법계연기(法界緣起), 진언종의 육대연기(六大緣起)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3

여러 가지로 변화하는 모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