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보휘어 ()

민속
문헌
조선시대, 학자 김진(金搢)이 인간 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수록하여 1653년에 간행한 유서.
문헌/고서
간행 시기
1653년(숙종 10)
편자
김진
권책수
60권 13책
권수제
신보휘어
판본
목활자본
표제
휘어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내용 요약

『신보휘어』는 조선 중기의 학자 김진(金搢)이 중국의 대표적 유서인 『옥해(玉海)』를 모방하여 편찬한 원고를 1653년에 목활자로 출간한 유서(類書)이다. 이 책은 「건도」에서 「복식」까지 인간 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광범위하게 담고 있어 백과사전적 성격이라는 가치를 가진다.

정의
조선시대, 학자 김진(金搢)이 인간 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수록하여 1653년에 간행한 유서.
서지사항

60권 13책. 목활자본.

편찬 및 간행 경위

김진(金搢)이 1615년(광해군 7)에 고향으로 돌아온 뒤 10여 년 동안 편찬하여 인조 초에 완성하였다. 이 책은 중국의 주3 같은 문헌을 모방하여 엮은 것으로, 김류(金瑬) · 한흥일(韓興一) · 유경집(柳景緝)이 도왔고, 심택(沈澤) · 권우(權堣) 등이 1653년(효종 4)에 간행하였다. 그리고 1684년(숙종 10) 에 주2를 원문에 덧붙여서, 주4하였다.

그런데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목활자본 『신보휘어』 외에 내용이 동일한 목판본 『신편휘어(新編彙語)』가 소장되어 있다. 따라서 주5’과 ‘신보(新補)’라는 관칭어로 보아 신편본은 계사(1653)년에 심택(沈澤)을 비롯한 학자들의 도움으로 목판으로 간행되었으며, 그 후 신보본은 갑자(1684)년에 목활자로 출간된 것으로 보인다.

내용

내용은 전체를 17문으로 나누고 그 아래에 649조 2,819목으로 세분하였다. 권1∼3은 건도문(乾道門) 148목, 권4 · 5는 곤도문(坤道門) 80목, 권6∼8은 만물문(萬物門) 182목, 권9∼12는 인륜문(人倫門) 243목, 권13∼15는 유도문(儒道門) 171목, 권16∼21은 군도문(君道門) 438목, 권22∼28은 신도문(臣道門) 142목, 권29∼32는 천관문(天官門) 142목이다. 권33∼35는 지관문(地官門) 169목, 권36∼38은 춘관문(春官門) 140목, 권39∼41은 사례문(四禮門) 136목, 권42∼47은 하관문(夏官門) 263목, 권48·49는 추관문(秋官門) 85목, 권50은 동관문(冬官門) 60목, 권51은 백용문(百用門) 40목, 권52∼57은 인사문(人事門) 306목, 권58 · 59는 복식문(服食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서술 형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용서목(引用書目)을 밝히고 그 내용을 기술하였다. 이때 인용된 책들은 주6 · 사가(史家) · 사가(詞家) · 주8 · 주9로 연대순으로 각각 수록되었다. 인용된 서목은 유가에 『시(詩)』 · 『서(書)』 · 『역(易)』 등 20, 사가(史家)에 『산해경(山海經)』 · 『오월춘추(吳越春秋)』 등 29개 유서, 사가(詞家)에 『이소(離騷)』 · 『문선(文選)』 등 31개 유서, 병가에 『육도(六韜)』 · 『손자(孫子)』 등 9개 유서, 잡가에 『노자(老子)』 · 『묵자(墨子)』 등 30개 유서로 모두 119유서이다.

『신보휘어』의 세목 중 서로 참고해야 할 것은 ‘詳(상)’ 또는 ‘互(호)’자를 첨가하고 문목명을 덧붙여 적어 넣어 보기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 이 책은 주11에서 복식까지 인간 생활 전반에 걸친 사항이 광범위하게 실려 있어 참고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논문

김영선, 『한국 유서(類書)의 서지학적 연구』(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한만성, 『조선 후기 유서(類書)의 자료조직 특성에 관한 연구: 『지봉유설(芝峯類說)』과 『성호사설유선(星湖僿說類選)』을 중심으로』(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주석
주2

자기가 엮거나 지은 책에 서문(序文)을 씀. 또는 그 서문. 우리말샘

주3

중국 송나라 왕응린이 펴낸 유서(類書). 천문, 율력, 지리 따위의 24개 부문 240여 항목으로 분류하여 널리 경사자집에서 초록(抄錄)한 것으로 고증에 뛰어나다. 200권. 우리말샘

주4

이미 펴낸 책을 거듭 간행함. 우리말샘

주5

새로 책을 편집함. 또는 그 책. 우리말샘

주6

공자의 학설과 학풍 따위를 신봉하고 연구하는 학자나 학파. 우리말샘

주8

병학(兵學)의 전문가. 우리말샘

주9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제가(諸家)의 설을 종합하고 참작하여 만든 학설. 또는 그 학설을 따르던 학파. 우리말샘

주11

지극히 강건한 하늘의 도(道).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