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익황 ()

극재선생문집
극재선생문집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극재집』, 『이기성정통간도』, 『동국승경와유록』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명중(明仲)
극재(克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2년(현종 13)
사망 연도
1722년(경종 2)
본관
평산(平山)
출생지
경상북도 인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극재집』, 『이기성정통간도』, 『동국승경와유록』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경상북도 인동 출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명중(明仲), 호는 극재(克齋). 아버지는 수사 신명전(申命全)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92년(숙종 18) 향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를 단념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신익황의 재주를 아껴 병조에서 과거에 응할 것을 종용하였으나 사양하였다. 그 학덕으로 인해 1708년 천거되어 경기전참봉(慶基殿參奉)이 제수되었으나 병을 이유로 사퇴하였다. 1717년 천거에 의해 의영고주부(義盈庫主簿)가 되었으나 왕에게 나아가 사은(謝恩)하고 바로 돌아왔다.

학문세계와 저서

신익황의 학문은 이현일(李玄逸)에게서 크게 영향을 받았다. 1698년 5월 이현일을 광양의 배소로 찾아본 것을 시초로 여러 차례 면대하여 가르침을 받았으며, 전후 열 차례의 서면 질의를 통한 학문적인 논의가 있었다. 이들의 논의 내용은 유학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행해졌으며, 특히 당시 학계의 주요 관심사였던 이(理)와 기(氣), 사단(四端)과 칠정(七情),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이 주된 문제였다.

신익황은 이현일을 만나기 이전에는 이황(李滉)의 설보다는 이이(李珥)의 설에 기울어져 있었다. 즉, 이와 기를 분개(分開)하기보다는 혼륜(渾淪)한 입장에서 보았으며, 사단과 칠정은 근원적으로 다른 것이 아니라, 사단은 칠정의 선한 부분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이·기의 발동(發動)에 있어서도 이황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이 아니라, 이이의 기발일도설(氣發一途說)에 찬성했다.

그러나 이현일과의 학문적 교섭을 통해 점차 이황·이이의 사상을 동등한 차원에서 인정하려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거기에서 더욱 철저한 논의를 거쳐 마침내 확연히 이이를 버리고 이황의 견지를 찬성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를 한갓 무정의(無情意)·무조작(無造作)의 추상적인 사물(死物)이 아니라, 은연 중에 능동(能動)·능발(能發)을 간직한 것이라 하고, 이와 기를 확연히 둘로 갈라서 보았다.

이에 따라 이와 기가 한 물건이라고 보는 이이의 주장에 반대하여 “이와 기를 구별하지 않고 한 물건이라고 하면, 마침내 욕(欲)을 이라 하고 기를 성(性)이라고 인정하게 된다.”라고 하고, “이와 기를 확연히 나누고 이가 선한 것임을 알 때 비로소 윤리가 성립된다.”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사단칠정설에 있어서도 사단이 칠정의 일부분, 즉 칠정이 발하여 절도에 맞게[中節] 된 것이라는 주기설(主氣說)을 반대하고, 사단과 칠정은 근본적으로 다른 것으로서 사단은 도심이며, 칠정은 인심이라고 하였다.

당시 영남의 대표적인 유학자인 권두인(權斗寅)·권두경(權斗經)·이재(李栽)·정사신(丁思愼)·권중도(權重道) 등과 학문적으로 교류하였다. 저서로는 『극재집(克齋集)』·『운곡도산휘음(雲谷陶山徽音)』·『경재집해(敬齋集解)』·『이기성정통간도(理氣性情通看圖)』·『동국승경와유록(東國勝景臥遊錄)』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1765년(영조 41) 아들 신염(申琰)의 공로로 사헌부대사헌에 추증되었고, 1784년(정조 8) 사림들이 모여 그의 위패를 곤산서원(崑山書院)에 봉안하였다.

참고문헌

『극재집(克齋集)』
『갈암집(葛庵集)』
『밀암집(密庵集)』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