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 강상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함경남도 신포시 강상리(옛 북청군 속후면 강상리) 호만포 호숫가에 있는 신석기시대 후기(5000~3800년 전)의 취락유적.
이칭
이칭
신포강상리유적
유적
건립 시기
신석시새대 후기
소재지
함경남도 신포시 강상리
내용 요약

신창강상리유적은 함경남도 신포시 강상리(옛 북청군 속후면 강상리) 호만포 호숫가에 있는 신석기시대 후기(5000~3800년 전)의 취락유적이다. 집터 2기 외에도 여러 기의 화덕자리가 발굴되었고, 사구에 자리한 점으로 보아 한반도 동해안 주변의 사구에 자리한 신석기시대 취락유적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출토된 토기는 두만강 하류 서포항유적의 3기 특징으로, 서포항 상층 문화에 포함된다. 옌하이저우의 5000~3800년 전 자이사노프카 문화와 같은 성격이다. 그러나 남한의 동해안 주변 유적인 양양오산리선사유적과는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정의
함경남도 신포시 강상리(옛 북청군 속후면 강상리) 호만포 호숫가에 있는 신석기시대 후기(5000~3800년 전)의 취락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1959년 북한의 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 연구소에서 가장 먼저 발굴하였으며, 현재는 1975~1976년 발굴 자료까지만 알려져 있다.

형태와 특징

한반도의 동해안 주변 유적은 주로 주1에 많이 자리하는데, 신창강상리유적(新昌江上里遺蹟)도 호포만의 사구에 자리잡고 있다. 2개의 집터와 주2 여러 기가 발굴되었는데, 유적의 입지로 볼 때 양양오산리선사유적과 같은 취락유적일 가능성이 크다.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은 주로 토기인데, 주로 새김 방법으로 문양이 새겨졌고, 그은 방법의 문양도 드물게 있다. 이빨이 많은 돋치개로 찍어서 무늬를 그리는 방법이 가장 많고, 끝이 뾰족한 홈바퀴를 굴려서 새긴 것과 끝이 둥글거나 반달 모양인 막대기를 눌러서 새긴 것이다. 문양은 주로 입술 주위에만 새겨져 있고, 몸통에는 없다. 새김 방법으로는 물결 문양, 삿자리 문양, 곧은 점선 문양으로 그려졌고, 그은 방법으로는 어골 문양이 표현되었다.

토기의 생김새는 바닥이 편평한 항아리, 키가 낮고 높은 바리형 토기 등 다양하다. 주로 바닥이 편평한 토기가 많지만, 둥근 토기도 발견되었다. 이외에도 주3도 출토된 것으로 알려졌다. 석기는 돌도끼, 화살촉과 주4 종류의 주5 조각 등도 있다.

의의 및 평가

신창강상리유적의 유물은 가까이 있는 함경남도 단성시 금송촌의 유물 및 서포항유적의 3기와 유사하다고 알려졌다. 서포항유적의 3기는 러시아 옌하이저우〔沿海州〕의 신석기시대 후기인 자이사노프카 문화와 같은 성격으로서, 서포항 상층 문화로 명명된 바 있다. 이 문화는 5000~3800년 전 동안 두만강 유역을 중심으로 퍼져 있었다.

신창강상리유적에서 보이는 토기가 서포항유적의 3기와 같은 성격이라면, 서포항 상층 문화의 범위가 두만강 하류뿐만 아니라 함경남도 원산만 일대까지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남한의 고성문암리유적 및 양양오산리선사유적과도 가까운 위치이고, 입지상으로도 비슷해서 유적 간의 관련성도 앞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논문

김재윤, 「서포항 유적의 신석기시대 편년 재고」(『한국고고학보』 62, 한국고고학회, 2009)
변사성, 안영준, 「강상리유적의 질그릇 갖춤새에 하여」(『조선고고연구』 2, 사회과학출판사, 1986)
황기덕, 「두만강유역과 동해안일대의 유적조사」(『문화유산』 6, 과학원출판사, 1957)
주석
주1

해안이나 사막에서 바람에 의하여 운반ㆍ퇴적되어 이루어진 모래 언덕. 크게 해안에서 볼 수 있는 해안 사구와 사막에서 볼 수 있는 내륙 사구로 나뉜다.    우리말샘

주2

선사 시대의 집터에서 난방과 음식 마련을 위하여 불을 피우던 자리. 가장자리의 바닥에 흙 또는 돌을 두르거나 깔았다.    우리말샘

주3

그릇의 겉에 붉은 칠을 바르고 문질러 닦아서 붉고 반들반들하게 만든 토기(土器). 신석기 시대 및 청동기 시대의 유물이다.    우리말샘

주4

유문암질(流紋巖質) 또는 안산암질(安山巖質) 따위의 마그마가 급격히 식으면서 굳어져 이루어진 화산암. 회색 또는 검은색을 띠고 유리 광택이 있으며, 조가비 모양의 단구(斷口)를 가진다. 아름다운 것은 장식품의 돌로 쓰고, 비석ㆍ도장ㆍ그릇ㆍ단열재 따위의 재료로 쓴다.    우리말샘

주5

구석기 시대에, 돌을 깨서 만든 돌연장.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