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법요초 ()

불교
문헌
문화재
조선 후기, 청허 휴정이 깨달음에 이르는 방법으로 선과 염불 등 수행의 지침이 되는 내용을 저술한 불교서.
문헌/고서
편찬 시기
17세기
간행 시기
1630년(인조 8), 1664년(현종 5)
저자
휴정(休靜)
권책수
1권 1책
권수제
심법요초(心法要抄)
판본
목판본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시도문화재자료
연계번호
3412600200000
지정기관
울산광역시
명칭
심법요초
원어
心法要抄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제20호
지정일
2011년 12월 29일
소재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도
0
위도
0
웹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3412600200000
해제여부
N
내용 요약

『심법요초(心法要抄)』는 조선시대 서산대사 청허 휴정(淸虛休靜)이 깨달음에 이르는 방법으로 선과 염불 등 수행의 지침이 되는 내용을 저술한 불교서이다. 1630년대 혜순(惠淳)이 간행한 판본과 1664년(현종 5)에 목양 명색(牧羊明賾)과 추계 유문(秋溪有文)이 전북 완주 안심사에서 간행한 판본이 현존한다. 두 판본은 판식뿐만 아니라 본문과 부록의 내용도 차이를 보이는 이본(異本)이다.

정의
조선 후기, 청허 휴정이 깨달음에 이르는 방법으로 선과 염불 등 수행의 지침이 되는 내용을 저술한 불교서.
서지 사항

1권 1책 목판본. 1664년(현종 5) 9월 전라북도 완주 대둔산 안심사(安心寺)에서 간행한 판본[時甲辰菊月日 大芚山安心寺新刊留置]은 9행 18자본으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등에서 소장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10행 21자본은 안심사본의 본문 구성과 부록 내용에서 차이를 보이는 주1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10행 21자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본의 권말에는 “종봉(사명 유정)의 필사 원고를 해인사에서 간행한 이 책도 줄여서 간행하였기에 빠진 것이 많다[刊鍾峯手稿于海印也 此集亦抄而刊焉所欠者多矣].”로 시작되는 발문 끝에 대화사(大化士) 혜순(惠淳)과 시주질이 판각되어 있다. 발문에는 사명의 비문과 서산의 원고 서문을 허단보(許端甫), 즉 허균(許筠)이 썼는데 종파를 잘못 기재했기에 이에 여러 기록과 비문을 모아 서문을 바로잡고자 쓴 것이라고 했다. 이는 1612년 해인사에서 간행한 상하 2권의 『청허집』에 실린 허균의 서문을 일컫는 내용이며, 대화사인 혜순이 이를 바로잡는 내용으로 기록해 둔 것이다. 혜순은 경기도 삭녕 용복사(龍腹寺)에서 주5로 참여하며 1628년부터 1636년까지 대략 30여 종의 불서를 간행한 책임자였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1630년 1월에 간행한 『청허집』에 『심법요초』가 합본되어 있는데, 두 판본의 형태가 유사하며 『심법요초』도 1630년대 용복사에서 간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용복사본보다 늦은 1664년 안심사에서 간행한 판본에는 백곡 처능(百谷處能, 1617-1680)의 서문과 추계 유문(秋溪有文, 1614-1689)의 발문 그리고 본문에 「삼종정관(三種淨觀)」, 「선송(禪頌)」, 「염송(念頌)」 등의 내용이 주6되어 있다. 발문에 의하면, 추계 유문이 목양 명색(牧羊明賾)을 도와 간행했다고 한다. 백곡 처능은 서문에서 “서산대사가 도(道)에 들어가는 요령을 기술하고 ‘심법요초’라는 제목을 붙이셨다.”라고 하고, 추계 유문은 “서산대사가 『심법요초』를 지은 본래 뜻은 마음을 닦는 사람들에게 힘들이지 않고 쉽게 깨닫게 하려는 것이었다.”라고 발문에 밝히고 있다.

내용

서설에서는 먼저 주7의 절대성을 제시하고, 참된 부처와 참된 법은 형상이 없는 것이므로 주8들은 부처나 법에 집착하지 말고 조사(祖師)의 공안(公案: 화두)을 힘껏 주9하여 홀연히 크게 깨닫는 것으로써 주4을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서 교학을 공부하는 사람과 선을 공부하는 사람에게 생겨나기 쉬운 병에 대하여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총명과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이론만을 떠벌리는 것은 교학자의 큰 병이며, 훌륭한 스승을 구하지 않고 가만히 앉아서 졸기만 할 뿐 참된 해탈의 경지에 이르지 못하는 것이 선학자의 병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선 공부의 종류를 참의(參意)와 참구(參句)로 구분하고 있다. 참의는 마음과 생각으로 헤아려서 홀연히 심법을 깨닫는 것이다. 참구는 마음과 생각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서 마음의 참 면목을 발명하는 것이다. 이 가운데 참의는 교에 해당하고 참구는 선에 해당한다고 하여 선과 교의 한계를 분석하였다.

「참선문(參禪門)」에서는 조사선(祖師禪)을 참구할 것과 구자무불성화(狗子無佛性話: 개는 불성이 없다는 화두)를 공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염불문(念佛門)」에서는 입으로 부르는 것이 송불(誦佛)이요, 마음으로 생각하는 것이 염불임을 밝히고 일심으로 나무아미타불을 생각하면 생사의 윤회를 벗어난다고 하였다. 「선송(禪頌)」에서는 한량없는 수행문 가운데 참선이 제일이니 모름지기 조사관(祖師關: 조사가 가르친 화두)을 참구하라 하였고, 「염불송」에서는 염불에 의지하면 반드시 생사를 초월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 밖에 「교외별전(敎外別傳)」 · 「직지인심무방편(直指人心無方便)」 · 「초발심보살수행(初發心菩薩修行)」을 비롯하여 수행의 지침이 되는 여러 가지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원전

『심법요초』(『한국불교전서』 7, 동국대학교 출판부, 1979)

논문

송정숙, 「서산대사의 『심법요초』에 관한 서지적 연구」(『서지학연구』 53, 한국서지학회, 2012)
오용섭, 「혜순이 간행한 용복사 불서」(『서지학연구』 63, 한국서지학회, 2015)
주석
주1

문학 작품 따위에서 기본적인 내용은 같으면서도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책. 우리말샘

주2

마음을 쓰는 법. 우리말샘

주3

공무(公務)에 관한 문안(文案). 우리말샘

주4

무엇을 배우는 길에 처음 들어섬. 또는 그 길. 우리말샘

주5

‘부처’의 다른 이름. 중생을 교화하는 선비라는 뜻이다. 우리말샘

주6

출판된 책이나 글 따위에서 모자란 내용을 더 보태고 기움. 우리말샘

주7

마음을 쓰는 법. 우리말샘

주8

배우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학자나 문필가가 별호로 쓰는 말. 우리말샘

주9

참조하여 연구함.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