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굿 무가 (굿 )

강릉단오제 / 심청굿
강릉단오제 / 심청굿
구비문학
작품
동해안 지역 별신굿 「심청굿거리」에서 연행되는 서사무가.
내용 요약

「심청굿 무가」는 동해안 지역 별신굿 「심청굿거리」에서 연행되는 서사무가이다. 널리 알려진 고소설 「심청전」과 동일한 내용으로, 20세기에 와서 가장 인기 있는 굿거리로 자리 잡았다. 「교정 심청전」의 영향으로 20세기에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해안 지역에서 연행되는 인신 희생담에 해당한다. 「봉사거리」를 전승한다는 특징과 동해안 굿 무당들의 예인적 면모를 보여 준다는 특징이 있으며, 지금도 왕성하게 전승되고 있다.

정의
동해안 지역 별신굿 「심청굿거리」에서 연행되는 서사무가.
개설

「심청굿 무가」는 동해안별신굿「심청굿」에서 불리는 서사무가이다. 널리 알려진 고소설 「심청전(沈淸傳)」과 유사한 내용으로 지금까지 여러 차례 반복 조사되었고, 활자화되어 발표된 것으로만 15편에 달한다. 지금도 동해안별신굿이 지속적으로 연행되고 있으므로 이 숫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고소설과의 관련성

「심청굿 무가」는 고소설 「심청전」, 판소리 「심청가(沈淸歌)」와의 관련 속에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심청굿」에서 판소리 「심청가」가 유래했다는 주장, 판소리에서 「심청굿」이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본 분석을 통해 보면 딱지본 주2인 「교정 심청전」을 바탕으로 했음이 분명해 보인다. 1960년대에 동해안 무녀 이금옥이 본격적으로 불러 확산되었다는 것이 정설(定說)이다.

「심청굿 무가」의 내용을 보면 고소설 「심청전」과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전반부에 비해 후반부가 간략하다. 즉 심청이 매신하여 인당수에 투신하기까지는 비교적 상세한 설명과 다양한 주3가 존재하지만, 심청이 인당수에 투신한 후에 어머니를 만나는 과정에서 용궁에 대한 설명과 삽화가 비교적 간략하다. 또한 심청이 황제를 만나 황후가 되는 장면에 대한 설명이 간략하다. 「심청가」와 「심청전」에서는 심청과 황제의 상봉 장면에 다양한 삽화가 들어가 있고, 심청이 황후가 된 후에도 심 봉사의 안위를 걱정하고 이를 황제가 위로하는 내용이 있지만 「심청굿 무가」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심청이가 황제에게 봉사 잔치를 열어 달라고 말하는 것으로 단순하게 표현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뺑덕 어미의 심술에 대한 묘사가 간략하며, 뺑덕 어미가 임신하였다며 심 봉사를 놀리는 장면도 간략하다. 목동 삽화와 방앗간 삽화도 빠져 있을 뿐 아니라 심청이 심 봉사를 만난 후의 후일담에서도 역시 간략하다. 즉, 전체적으로 볼 때 「심청굿 무가」는 심청이 주10 인당수에 뛰어든 다음에는 판소리나 고소설에 비해 이야기가 상당히 간략하게 전개되는 면모를 보인다.

형성 요인

「심청굿 무가」 형성에는 여러 요인이 있다. 하나의 요인으로 우리나라 해안 지방에 널리 퍼져 있는 인신 희생담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재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을 사람들이 해신에게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것은 상당히 널리 알려진 설화 유형인데, 동해안 지역의 사람들에게 있어서 한 처녀가 제물로 바쳐진다는 이야기는 낯설지 않은 유형의 이야기이다. 이러한 유형의 이야기로는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거타지 주4나 울릉도 「태하성황당 유래담」이 대표적이다. 또한 동해안 지역 거리굿에서 연행되는 「봉사거리」도 주목할 만하다. 「봉사거리」에 등장하는 「방아 타령」 주5는 「심청전」이나 「심청가」에서 현재 발견되는 삽화와 상당히 유사한 점이 있다. 특히 봉사가 눈을 뜬다는 내용은 「심청전」과 유사하기 때문에 「심청굿 무가」가 연행되는 과정에 굿판에 참가한 청중들로부터 거부감 없이 수용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요인으로는 동해안 무속인들의 예인적(藝人的)인 기질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무가 연행에서 창의성을 다양하게 보여 준다. 무속인들은 늘 새로운 굿거리에 대한 열망이 있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심청굿'이라는 새로운 거리가 창안되어 연행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뿐만 아니라 「교정 심청전」이 널리 읽히면서 굿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교정 심청전」과 「심청굿 무가」에 나타난 주9가 모두 동일하다는 점에서 영향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을 바탕으로 「심청굿 무가」가 형성되어 현재는 동해안별신굿의 가장 인기 있는 굿거리가 되었고 지금도 왕성하게 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김진영·김영수·홍태한, 『(서사무가)심청 전집』(민속원, 2001)
김태곤, 『한국무가집』 Ⅰ(원광대학교민속학연구소, 1971)
최정여·서대석, 『동해안무가』(형설출판사, 1974)

논문

윤동환, 「심청굿의 전승과 확산」(『구비문학연구』 38, 한국구비문학회, 2014)
최혜진, 「심청서사무가의 전승과 연행 특징」(『온지논총』 53, 온지학회, 2017)
홍태한, 「심청굿과 오구굿을 통해 본 굿거리의 변화」(『한국무속학』 1, 한국무속학회, 1999)
주석
주2

1910년대 이후에 신식 활판 인쇄기로 찍어 발행한 소설. 우리말샘

주3

어떤 이야기나 사건의 줄거리에 끼인 짤막한 토막 이야기. 우리말샘

주4

신라 시대의 명궁 거타지에 관한 설화. 거타지가 중으로 둔갑한 늙은 여우를 활로 쏘아 물리치고 용왕의 딸과 결혼하게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삼국유사≫에 실려 전한다. 우리말샘

주5

소설 따위에서, 이야기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 우리말샘

주9

소설이나 판소리 따위의 중간에 끼어 있는 시가(詩歌). 우리말샘

주10

몸값을 받고 남의 종이 되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