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봉일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소세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소세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활자본. 1935년 후손 학규(學奎) · 진문(鎭文)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후손 수중(洙中)의 서문과 권말에 학규 · 상영(祥永)의 발문이 있다. 전북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87수, 권2는 부록으로 행록, 서(序), 간(簡) 2편, 운(韻) 3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중 칠언절구는 조카인 진사 수(遂)를 찾아 말년 인생의 희비를 생각하며 수작(酬酌)한 내용과 조카 염세(厭世), 이은(李殷) 등과의 송별을 노래한 내용이다. 오언칠언사율은 관직에 있을 때 수창(酬唱)한 것으로, 정사룡(鄭士龍) · 송순(宋純) · 수와의 교유의 정회를 담고 있다.

「매월정(梅月亭)」 · 「연광정(鍊光亭)」 · 「동사집대자운(東槎集臺字韻)」 · 「송경운(松京韻)」 · 「죽서벽골운(竹西碧骨韻)」 · 「영서익차운(令徐益次韻)」 · 「한제(閒題)」 등은 저자의 행적과 의식세계를 고찰할 수 있는 시편이다.

이밖에 칠언고율은 말년에 고향인 익산에 은거하며 형제들과 효우(孝友)의 정을 누린 자신의 자화상을 시로 표현한 것으로, 고상하고 청일(淸逸)한 시경을 담고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