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시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대청무역으로 회령(會寧)과 경원(慶源) 두 곳에서 열렸던 국제시장.
이칭
이칭
쌍개시
목차
정의
조선시대 대청무역으로 회령(會寧)과 경원(慶源) 두 곳에서 열렸던 국제시장.
내용

쌍개시(雙開市)라고도 한다. 인조 이후 조선과 청나라와의 공무역은 회령과 경원에서 각각 시작되어 북관개시(北關開市) 또는 북도개시(北道開市)라 일컬어졌다.

그런데 회령개시는 해마다 개시된 반면에 경원개시는 격년으로 개시되었다. 갑(甲)·병(丙)·무(戊)·경(庚)·임(壬)의 다섯해는 회령에서만 열리므로 이를 단시(單市)라 하고, 을(乙)·정(丁)·기(己)·신(辛)·계(癸) 다섯 해는 회령과 경원 두 곳에서 아울러 열리므로 쌍시라 하였다.

이 중 회령에서는 숭덕연간(崇德年間, 1636∼1643)에 영고탑(寧古塔)·오라(烏喇) 두 곳의 사람들이 호부(戶部)의 표문(票文)을 가지고 와서 농우(農牛)·농기(農器)·식염(食鹽)을 무역해갔고, 경원에서는 1646년(인조 24)에 정식으로 개시를 열어 소녹비(小鹿皮)를 가지고 와서 소·보습[犁]·솥[釜] 등과 교환하였는데, 그 비율은 보습 1개에 소녹비 2장, 솥 1개에 소녹비 1장이었다.

개시 시기는 봄과 가을 혹은 겨울에 열렸으며, 함경도평사(咸鏡道評事)가 감독하였다. 당시에는 조선에서 소나 솥 등의 일상생필품을 공급하는 대신 청나라측에서도 청포(靑布)와 녹비 등 건전생산품을 받아왔던 만큼 별문제가 없었으나 이후 사무역이 점차 성행하고, 청나라 관원에 대한 응접과 많은 소의 사료문제 등으로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만기요람(萬機要覽)』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통문관지(通文館志)』
「연행소고(燕行小攷)」(김성칠, 『역사학보』12, 1960)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