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센트 (accent)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단어의 뜻을 갈라내는 음의 고저와 강약.
내용 요약

악센트는 단어의 뜻을 구분하는 음의 고저와 강약이다. 분절음소에 얹혀서 실현되면서 단어의 뜻을 갈라내는 변별적 기능을 가지는 고저와 강약을 악센트라고 부른다. 문말에 나타난 고저의 굴곡은 억양으로서 악센트와 다르다. 악센트는 보다 정확하게 강약 악센트와 고저 악센트로 구별한다. 악센트의 강약은 진폭의 넓이에서 구별되고, 고저는 진동수의 많고 적음에서 구별된다. 고저 악센트는 낱말의 음절에 배정된 고저의 기능이 일 대 일이 아니라는 점에서 성조와 구별되며 어사성조라고도 한다. 현대국어의 경상도방언과 함경도방언에는 고저악센트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약악센트는 강세라고도 불리는데 국어에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차
정의
단어의 뜻을 갈라내는 음의 고저와 강약.
내용

우리가 말을 할 때에 똑같은 높이로, 또는 똑같은 세기로 말하기는 오히려 어려운 일이다. 조금 높게, 조금 세게 발음하는 부분이 있는가 하면, 그 반대로 조금 낮게, 조금 약하게 발음하는 부분이 있기 마련이다.

자연스러운 발화행위에는 이러한 자질이 주1 위에 얹혀서 실현되는 것이 자연스러운데, 이러한 자질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언어는 아마 없을 것이다. 말이라고 하면 어떠한 말이든지 간에, 이러한 고저 · 강약을 수반하는 것이 예사로운 일이지마는, 이러한 자질이 가지는 지위(地位)는 언어에 따라 각각 다르다.

어떤 언어에 있어서는 고저가 매우 중요한 자질이 되어서 단어의 뜻을 갈라내는 데 사용되고, 그것의 지위가 분절음소에 진배없거나 혹은 오히려 그보다 나은 듯 한 데 대하여, 다른 말에서는 강약이 그러한 지위를 가지는 수가 있다. 이렇게 고저와 강약이 변별적 기능을 가질 때에, 그러한 고저와 강약을 악센트라고 부르게 된다.

고저와 강약의 실현은 이들만이 독립하여 드러날 수 없다. 이들의 실현은 언제나 분절음소들의 선상배열(線狀排列) 위에 얹혀서 또 다른 일선으로 실현되어 나가는 것이다. 악센트의 이같은 성질을 고려하여, 이들을 주2 또는 제2차음소라고 부르기도 하며, 혹은 또 이들만이 독립하여 따로 일선으로 존재하는 것이라 보기도 한다.

고저와 강약은 음성적인 자질로서는 어떤 언어에나 다 있는 것이지마는, 그것들이 변별력을 가질 때에만 그 언어의 악센트가 되는 것이다. 고저와 강약이 변별적 기능을 가지지 못하고, 다만 음성적인 실현에 그치게 되면 그러한 자질은 있기는 하여도 잉여적인 자질일 뿐 악센트라 부르지 않는다.

고저와 강약이 화자의 정서적인 표현욕구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수반되는 수도 있으나, 그러한 것은 어의에 화자의 정서적인 강도를 더할 뿐 어의를 분화하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고저와 강약은 악센트라 부르지 않는다.

고저의 굴곡이 문말(文末)에 나타난 것은 악센트가 아니다. 문말의 고저 굴곡은 문장 전체에 걸리는 것이고, 단어에 걸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문말의 고저 굴곡은 통사적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단어의 뜻에는 간여하지 않는다. 이것은 이른바 억양(抑揚, intonation)이라는 것으로 악센트와 구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악센트라는 말은 강약이나 고저를 구별하지 않고 쓰이기도 하지만 보다 정확하게는 강약악센트(stress accent, dynamic 주4와 고저악센트(pitch accent, musical 주5로 구별하여 쓴다. 강약과 고저의 음성학적인 구별은 한 단위 시간에 걸쳐서 실현되는 한 단위 음성의 진폭과 진동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일정한 진동수를 가진 둘 이상의 음성이 그 진폭만이 다르면, 진폭이 넓은 쪽이 강한 음성이고 진폭이 좁은 쪽이 약한 음성이다. 일정한 진폭을 가진 둘 이상의 음성이 그 진동수만 다르면, 진동수가 많은 쪽이 높은 음성이고 진동수가 적은 쪽이 낮은 음성이다. 강약은 진폭의 넓이에서 구별되고, 고저는 진동수의 많고 적음에서 구별된다.

언어음의 강약과 고저인 악센트도 대개 음성의 이같은 성질에서 생겨나는 것이나, 그것은 전후 음절에 대한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물리적 · 음성적 고저 · 강약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악센트는 고저이거나 강약이거나 간에 한 언어의 음소와 같은 존재이니, 그 언어가 쓰이는 사회와 그 사회의 역사적 제도로서 누구에게나 공통된 것이다.

그러므로 한 언어의 악센트는 그 체계의 위계에서 몇 가지 고저, 몇 가지 강약이 변별적으로 존재함을 지적하면 충분하고, 음성적인 성질을 수치적(數値的) 절대치로 표시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악센트는 한 단어의 어떤 음절이 그 전후 음절이나, 다른 단어의 한 음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다거나 세다거나 하는 변별적 차이를 드러내는 것이므로, 단어를 떠나서는 이를 밝혀낼 수 없는 것이다.

고저악센트는 성조(聲調)와 구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저악센트나 성조가 다같이 몇 개의 고저를 주3의 음절에 배정하고 그것으로 어의를 분화함은 같은 점이나, 다만 그때에 그 배정된 고저의 기능이 한결같이 드러나느냐 혹은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양자를 구별하게 된다.

음절에 대한 고저의 배정이 일 대 일로 되어 있고, 그 배정된 고저가 또한 한결같이 일 대 일의 기능을 발휘할 때에는 이를 성조라 하고, 음절에 대한 고저의 배정이 일 대 일로 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배정된 고저의 기능이 일 대 일일 수 없을 때에는 이를 고저악센트 혹은 어사성조(word pitch accent)라고 한다.

현대국어의 경상도방언과 함경도방언에는 고저악센트(혹은 어사성조)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것이 이들 방언의 한 특징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방언의 고저악센트는 후기 중세국어의 방점표기와 규칙적인 대응을 보여주고 있는 데에서, 대개 중세국어와 동일 방사 원점에서 발달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중세어가 평성 · 거성 · 상성의 세 가지 높이를 그 표기상에 보여주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이들 방언에서도 표면상으로는 세 가지 높이, 즉 저조 · 고조 · 선저후고조(혹은 장조)를 구별하고 있다. 이 세 가지 높이 중에서 선저후고조를 저조, 혹은 저장조로 보는 견해도 있고, 저조 · 중조 · 고조의 3단으로 보는 견해와 저조 · 고조의 2단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경상남도방언의 악센트를 보여주는 최소대립어를 몇 가지 예를 보면 [표]와 같다.

강약악센트는 강세라고도 불린다. 한 단어가 한 음절이나 혹은 그보다 긴 음성연속으로 실현될 때에, 그 중 어떠한 음절이 다른 음절에 비하여 보다 힘찬 주6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힘찬 음세를 강세라고 부른다. 국제음성협회에서는 강세를 가지는 음절 앞에 [ ′]표를 붙이기도 한다.

강세가 어의분화에 관여하여 음소와 같은 기능을 가지느냐의 여부는 언어에 따라 다르며, 이 때에 그 강세가 몇 가지 있으며, 어떻게 그 기능을 드러내느냐도 언어에 따라 다르다.

우리 국어에는 강세가 뜻을 분화하는 일이 없으므로 강약악센트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세를 가진 언어로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것은 영어와 독일어 등이다. 영어의 강세는 보통 4단계 즉 제1강세, 제2강세, 제3강세, 약세 등이 그것이며, [' ], [^ ], [ `], [ˇ] 등과 같이 표기하거나, 1·2·3·4와 같이 숫자로 표기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국어음운학』(허웅, 정음사, 1965)
『국어성조(國語聲調)에 관한 연구』(정연찬, 일조각, 1976)
『중세국어성조(聲調)의 연구』(김완진, 탑출판사, 1977)
「현대 서울말의 accent의 고찰」(이숭녕, 『서울대학교논문집』 9-인문·사회과학편-, 1959)
주석
주1

‘음소’를 운소(韻素)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단어의 의미를 분화하는 데 관여하는 음소 이외의 운율적 특징. 소리의 높낮이, 길이, 세기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3

한 문장에서 주어의 움직임, 상태, 성질 따위를 서술하는 말. “철수가 웃는다.”에서 ‘웃는다’, “철수는 점잖다.”에서 ‘점잖다’, “철수는 학생이다.”에서 ‘학생이다’와 같이 주로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의 종결형으로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4

악곡의 특정한 자리가 강조되어 어떤 음을 다른 음보다 크고 힘 있게 내는 일. 우리말샘

주5

단어 또는 문장의 어떤 요소에 놓이는 소리의 높낮이. 우리말샘

주6

음성학에서 음의 강약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