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은사 ()

목차
관련 정보
야은사
야은사
건축
유적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조선전기에 건립된 길재 관련 사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조선전기에 건립된 길재 관련 사당.
내용

1403년(태종 3)에 당시 경상도관찰사였던 남재(南在)가 길재(吉再)가 거처하던 곳에 가묘(家廟)로 사당을 건립하였다.

그 뒤에 길재의 유상(遺像)을 봉안하고 향사하다가 건물이 퇴락하여 1583년(선조 16)에 선산부사 유덕수(柳德粹)가 중수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

1602년에 선산부사 김용(金涌)이 다시 중건하였으며, 그 뒤 순조 때에 이르러 크게 중수하였다. 지금의 건물은 1972년에 후손이 중수한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이다. 사당 안에는 충절(忠節)이라는 시호교지와 《야은문집 冶隱文集》의 판각본 및 문집 1백여 권이 보존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윤용진(경북대학교, 고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