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산유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황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황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65년 이황주의 현손 이목현(李穆玄)이 편집 ·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중해(權重海)와 변시연(邊時淵)의 서문, 권말에 이목현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 석인본. 전북특별자치도 고창의 현곡서원(玄谷書院)과 전주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38수, 서(書) 22편, 위장(慰狀) 2편, 의의조대 9편, 계(啓) 2편, 잡저 5편, 서(序) 3편, 기(記) 2편, 설(說) 1편, 권2에 상량문 7편, 제문 19편, 부록으로 가장 · 행장 · 묘표 · 묘지명 · 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주로 차운이나 만사가 많은데, 시상이 온건하고 경치나 풍물이 사실적으로 잘 묘사되어 있다. 서(書)는 주로 사우와 친지간에 안부를 묻는 것이며, 학문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 것도 더러 있다. 「의의조대」는 경문에 대해 의문나는 구절을 뽑아 조목조목 설명한 것인데, 『중용』의 서문과 『논어』에서 나온 것으로 모두 9개 항목이 있다.

계는 저자의 7대조 이문좌(李文佐)가 봉안되어 있는 인산서원(仁山書院)을 철폐하려고 하자 이를 중지해 달라는 것으로, 인산서원이 학문에 기여한 공로와 선비들의 양성소임을 강조한 글이다.

잡저에는 함께 공부하는 세 사람이 산중에 들어가 서로 고생을 나눈 이야기를 담은 「동고록(同苦錄)」이 있다. 또한, 용궁현령이 예천현령에게 기황(飢荒)에 대한 구원을 요청하는 글과 아동들에게 『성리대전(性理大全)』에 대해 이야기한 글 등이 있다. 서(序)에는 사서 질의에 대해 설명한 「사서질의문서(四書質疑文序)」가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