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진당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양진당유고
양진당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하만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하만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11년 8대손 진천(鎭天)과 9대손 영진(永晋)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기(鄭琦)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진천과 영진의 후지(後識)가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01수, 제문 1편, 권2는 부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자연물의 이채로움을 묘사한 것과 기행시가 많으며, 차운(次韻)한 것도 많다. 「종호팔경(鍾湖八景)」은 호중석서(湖中石嶼)·영취귀운(靈鷲歸雲)·석문낙엽(石門落葉) 등 8편의 칠언구로서 종호의 풍경을 묘사한 작품이다.

그밖에 「경차이도사유형우거운(敬次李都事惟馨寓居韻)」 2수 등 차운시와 「만한충의위빈(挽韓忠義衛賓)」 등 만시가 있다. 최휘지(崔徽之)에 대한 제문도 1편 있다.

부록에는 익위(翊衛) 최휘지의 「차하자장증사제운(次河子長贈舍弟韻)」 등 2수의 시, 교리 최유지(崔攸之)의 「우후사자장유음(雨後思子長有吟)」 등 5수의 시가 실려 있다.

또, 진사 김서미(金瑞微)의 만사 1수, 최유지의 제문 1편이 있고, 필자의 효성과 덕행을 들어 표창해줄 것을 청하는 내용으로 지방유생들이 연명한 「향유정본부장(鄕儒呈本府狀)」 4편이 있다.

최병심(崔秉心)의 「효감천기(孝感泉記)」에는 저자가 어머니의 병을 고치기 위하여 손가락을 잘라 피를 바친 사실이 적혀 있다. 이어 최시옹(崔是翁)의 행장과 이조참의 한만유(韓晩裕)와 김정중(金定中)의 묘갈명 2편이 수록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조선 중기 향촌재지사족의 한문학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이며, 50명 이상이 연명한 정장(呈狀) 4편을 통하여 당시 윤리적 규범의식을 엿볼 수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구선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