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병요 ()

목차
관련 정보
역대병요
역대병요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전기 문신 정인지 · 유효통 등이 역대의 전쟁과 그것에 대한 선유(先儒)들의 평을 집성하여 1453년에 간행한 군서. 병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역대병요』는 역대의 전쟁과 그것에 대한 선유들의 평을 집성하여 1453년에 간행한 군서이다. 정인지·유효통 등이 집성하였다. 13권 13책 목판본이다. 중국의 『황제탁록』에서 시작해 태조 이성계의 전적까지 수록하였다. 특히 권13에는 이성계가 홍건적을 토벌하고 외적을 물리친 기사가 실려 있다. 대개 병략의 요점이 되는 기사를 정리했으며 간간이 후대 인물의 논평을 실었다. 책 말미에는 간행 및 교정, 각수 작업 등을 한 인물들의 이름과 간기를 밝혔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전사와 전쟁 일반론에 대한 조선 초기의 인식을 보여준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문신 정인지 · 유효통 등이 역대의 전쟁과 그것에 대한 선유(先儒)들의 평을 집성하여 1453년에 간행한 군서. 병서.
내용

13권 13책. 목판본.

1450년(세종 32) 세종정인지 등에게 명해 역대의 전쟁과 그것에 대한 선유(先儒)들의 평을 집성하도록 하고, 친히 ‘역대병요’라고 책명을 붙였다. 그 뒤 1451년(문종 1) 문종이 김구(金龜) · 김말(金末) · 김담(金淡) · 서거정(徐居正) 외 6인에게 기록을 원전에 확인하고 음(音)에 대한 주를 보완하도록 하였다.

이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이 작업을 지휘한 듯하며, 1453년(단종 1) 그가 단종에게 완성된 것을 바쳤다. 이후 1456년(세조 2)에는 왕명으로 내용이 너무 번다하다 하여 원본을 간략히 줄여 무신들에게 교육할 것을 명하였다. 그 해에 이석형이 전라도관찰사로 있으면서 도사 조매(趙枚) 및 광주목사 송휴명(宋休明)과 함께 목판본으로 간행했는데 이것이 현재 규장각도서에 전하는 책이다.

1461년에는 세조가 다시 이석형 등에게 수교(讐校)를 명한 기록이 나오고, 조선 중기 선조 연간에도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계속 중요하게 읽혀진 듯하다. 중국의 『황제탁록(黃帝涿鹿)』에서 시작해 태조 이성계의 전적까지 수록하였다.

규장각본은 1책이 낙질되었으며, 권2에는 춘추전국시대의 한(韓) · 위(魏) · 조(趙)가 지백(智伯)을 멸하는 기사에서 오기(吳起) · 손빈(孫臏) · 인상여(藺相如)의 전적을 거쳐 한고조와 항우의 싸움 등 한(漢)이 건국되기까지의 기사를 수록하였다. 권3에는 한고조와 흉노의 싸움을 비롯한 한나라 초기의 전적을, 권4에는 한나라 광무제(光武帝)의 전적부터 제갈량(諸葛亮)과 위(魏)의 싸움에 이르기까지의 내용을, 권5에는 역시 제갈량의 싸움부터 남북조시대 초기까지의 싸움을 수록했으며, 권6은 낙질이다.

권7에는 양무제(梁武帝)로부터 당(唐) 초기에 이르는 전적을, 권8에는 당 초기에서 고종의 돌궐(突厥) 경략에 이르는 기사를, 권9에는 당의 안녹산의 반란(安祿山) 등을 수록했으며, 권10에는 당 말기의 기사를, 권11에는 당말의 혼란기에서 송(宋) 태조의 전적에 이르기까지와 거란이 고려를 공격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권12는 낙질이다.

권13에는 원의 성립과 송의 멸망 과정의 싸움과, 원의 일본 정벌 기도에 이르기까지의 중국 전적이 정리되어 있다. 이어 고려가 거란을 파한 내용, 이성계의 홍건적 토벌 등을 수록한 뒤 다시 명이 원을 정벌한 기사가 있다. 그 뒤에는 다시 이성계가 왜구 · 원 · 여진족 등의 외적을 물리친 기사가 11편 실려 있다. 대개 병략의 요점이 되는 기사를 간략히 정리했으며, 간간이 후대 인물들의 논평을 싣기도 하였다.

말미에는 간행을 지휘한 이석형 · 조매 · 송휴명과, 감교(監校)한 조호지(曺好智), 교정을 담당한 김백공(金伯恭) · 맹눌(孟訥) · 노미(盧美) 등의 관직과 이름을 수록하고, 각수(刻手) 대선사지선(大禪師智禪) 등 실제 작업을 한 인물 24명의 이름을 실었으며 간기(刊記)를 밝혔다.

우리나라의 전사(戰史)를 따로 정리한 『동국병감(東國兵鑑)』을 비롯해 세조의 『병장설(兵將說)』 등과 함께 전사와 전쟁 일반론에 대한 조선 초기의 인식을 전해 주는 책이다. 또한 매우 이른 시기의 책이므로 서지학적으로도 중요하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문종실록(文宗實錄)』
『단종실록(端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국조보감(國朝寶鑑)』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열성어제(列聖御製)』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