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8명창중의 한 사람이다. 경기도 여주에서 태어났고 충주에서 살았다. 모흥갑(牟興甲)·송흥록(宋興祿)과 동배(同輩)이다. 어려서부터 판소리에 재질이 있었으나 집안이 가난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충청도 음성에 있는 벽절이라는 절로 들어가 10여년간 판소리를 수련하고 나와서 세상에 이름을 떨쳤다.
헌종 때 어전(御前)에서 판소리를 하여 동지(同知)벼슬을 받았다. 김성옥(金成玉)과 더불어 중고제(中古制) 판소리의 시조로 꼽히고 있는 그는 「장끼타령」과 「흥보가」를 잘하였고 권삼득(權三得)의 창법을 많이 본받았다.
경기도 향토가요조 판소리를 응용하여 여러 대목의 소리를 짜서 이를 경드름(京調)과 추천목이라고 불렀다. 경드름은 경기민요 「창부타령」·「도라지타령」과 같은 민요의 토리를 판소리화시킨 것이며, 추천목은 「한강수타령」·「오봉산타령」과 같은 민요의 토리를 판소리화시킨 것이다.
특히, 그는 「춘향가」중에서 십장가 대목을 잘하였는데, 그의 더늠으로 「춘향가」에서 ‘남원골한량’ 대목은 경드름으로 되어 있고 「춘향가」에서 ‘네그른 내력’ 대목과 「수궁가」에서 ‘토끼 욕하는’ 대목은 추천목으로 되어 있다. 그는 판소리에 경드름을 도입한 명창으로 공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