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영국사 망탑봉 삼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영동 영국사 망탑봉 삼층석탑 측면
영동 영국사 망탑봉 삼층석탑 측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영국사에 있는 고려시대 자연 암반을 기단으로 한 일반형 석조 불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동 영국사 망탑봉 삼층석탑(永同 寧國寺 望塔峰 三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71년 07월 07일 지정)
소재지
충북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산139-1번지 영국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영국사에 있는 고려시대 자연 암반을 기단으로 한 일반형 석조 불탑.
내용

197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m. 현재의 영국사에서 동쪽으로 약 500m 되는 곳에 속칭 망탑봉이라는 작은 봉우리가 있고, 이 정상에 삼층석탑 1기가 건립되어 있다.

망탑봉이라는 이름은 사찰이나 동네에서 모두 똑같이 부르고 있는데, 언제부터 호칭되었는지 전혀 알 수 없다고 한다. 이 봉우리에 석탑이 건립된 뒤부터 탑을 바라본다는 연유에서 붙여진 것 같다.

거대한 화강암반 위에 세워진 일반형 석탑으로 암석 상면을 평평히 다듬고 자연암을 그대로 이용하여 기단을 조성하였다. 즉, 암반 상면 중앙에 돌출된 형태의 네모난 기단부가 마련되었는데, 다듬은 암상(巖床)에 2단의 높직한 각형받침을 각출(刻出)하고 그 위에 면석을 조성하였다.

단층기단으로서 각 면에는 양 우주(隅柱)를 각출하고 중앙의 1탱주(撑柱)로 양쪽으로 나눈 구간에 안상(眼象) 1구씩을 조각한 통형(通型)으로, 상단 둘레에 갑석의 표현이 뚜렷하며 상면에는 아무런 받침이 없고 그대로 탑신이 놓였다.

탑신은 신(身)·개(蓋)가 별석(別石)으로 조성되었는데, 각 층의 옥신석(屋身石)에는 양 우주가 정연히 각출되었고, 특히 층마다 상부가 하단부보다 약간씩 좁혀져서 주목된다. 초층 옥신 하단에 1단의 각형굄이 조출되었는데, 이것은 기단부 갑석 상면에 탑신받침을 마련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대신으로 새긴 것같이 보인다.

그리고 초층 옥신 각 면에는 중심 하부에 동일한 규격으로 문비(門扉)가 돋을새김되었는데 그 형태는 일반적 양식이 아니고 상·하부의 양단이 돌출된 액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면은 문양이 없어서 흥미롭다.

초층 옥개석은 옥개받침이 5단인데 하부 3단은 별석으로 조성하였다. 추녀가 직선이고 낙수면(落水面)이 평박한 편이며, 전각에 반전(反轉)이 있으나 풍경공(風磬孔)은 없다. 정면(頂面)에는 각형 1단의 옥신받침이 각출되었는데, 그 위의 2층 옥신 하단에 새겨진 1단의 각형 받침과 겹쳐져 마치 2단의 받침을 마련한 것처럼 보인다.

2층 옥개석은 받침이 4단이며 정면에 옥신굄 1단이 각형으로 조출되었고, 그 위의 3층 옥신에는 양 우주 외에 아무런 조식이 없다. 3층 옥개석은 옥개받침이 4단이고 정면에 각형(角形)의 노반(露盤)받침이 1단 각출되었으며, 그 상면 중앙에는 지름 4.5㎝, 깊이 3㎝의 둥근 찰주공(擦柱孔)이 만들어져 있다.

현재 노반석은 결실되고, 다만 1석으로 조성된 연봉형의 보주(寶珠)가 놓여 있을 뿐이다. 각 층 옥개석의 낙수면이 평박하고 네 귀퉁이의 전각에도 반전이 뚜렷하여 경쾌하다. 한편, 각 옥신의 상부가 좁혀졌으므로 석탑 전체의 형태는 안정감이 있으며 더욱 단정하고 아름답다고 하겠다.

그러나 석탑의 조성 양식으로는 정형(定型)의 규범에서 약간씩 벗어남을 보이고 있다. 곧 단층 기단인 것과 그 갑석의 수법이 약화된 점, 그리고 옥개받침과 옥신굄의 각출이 정연하지 않으며 각 옥신석의 비율이 같지 않은 것 등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보물2(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국보』탑파(진홍섭 편, 예경산업사, 1983)
집필자
정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