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변가 ()

목차
국악
작품
평안도민요.
목차
정의
평안도민요.
내용

“영변(寧邊)의 약산(藥山)의 동대(東臺)로다.”라는 1절의 사설에서 ‘영변가’라는 곡명이 붙었지만, 2절부터는 영변과 관계 없는 내용으로 되었다. 「영변가」에는 본래 구조와 신조가 있었는데, 구조는 사설만 전해지고 있을 뿐이다. 신조는 전부 6절인데 현재는 흔히 3절까지만 불린다.

장단은 흥겨운 세마치로 되었다. 한 마루는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데 짧게는 여섯 장단, 길게는 열한 장단이 모여서 이루어진다. 각 절의 사설은 내용이 전혀 다른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점이 색다른데, 각 부분마다 세 마루로 되었다. 첫 절의 사설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전반)

① 노자 에헤 노자 노자. 아하 아하

② 젊어서 노잔다.

③ 나이 많아 병이나 들면은 못 노리로다.

(후반)

① 영변의 약산의 동대로다. 아하 아하

② 부디 편안히 너 잘 있거라.

③ 나도 명년 양춘은 가절이로다. 또다시보자.

레·미·솔·라·도의 5음에 의한 서도의 전형적인 음계로 되었으며, ‘라’를 목을 조여서 내고 음을 떨다가 '‘레’로 완전5도 하행하면서 종지된다.

전반 첫 마루에서는 ‘미’ 대신에 반음이 높은 ‘파’를 일시적으로 사용한다든지, 후반 첫 마루의 가락이 전반의 첫 마루 가락을 완전5도 높게 옮겨 놓은 점 등은 이 곡이 가지는 흥미로운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조선의 민요』(성경린·장사훈, 국제음악문화사, 1949)
집필자
황병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