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원습영 ()

목차
관련 정보
예원습영
예원습영
유교
문헌
중국과 한국 등 동양의 역대 한시를 모아 엮은 시선집.
목차
정의
중국과 한국 등 동양의 역대 한시를 모아 엮은 시선집.
내용

11책. 필사본. 편저자 및 편저 연대는 미상이나 조선 후기로 추정된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1∼8책에는 중국과 일본, 안남(安南)과 운남(雲南)의 한시, 9책∼11책에는 우리나라의 역대 한시가 실려 있다.

1책의 고일가요편(古逸歌謠篇)에는 서왕모(西王母)의 「백운요(白雲謠)」 등 16수, 한(漢)·위(魏)·진(晋)의 오언고시 156수가 있고, 2책에는 당(唐)의 오언고시 255수가 있다. 3책에는 당의 칠언율시 359수와 칠언배율시 4수가 있다. 4책에는 당의 오언율시 469수와 오언배율시 38수가 있으며, 5책에는 이백(李白)의 오언율시 65수, 두보(杜甫)의 오언율시 182수, 이백의 칠언율시 8수, 두보의 칠언율시 127수가 있다.

6책에는 당의 오언절구 269수, 육언부(六言附) 16수, 칠언절구 246수가 있으며, 7책에는 송(宋)의 칠언율시 187수, 원(元)의 칠언율시 92수, 명(明)의 칠언율시 98수가 있다. 8책에는 송의 오언율시 39수, 원의 오언율시 107수, 명의 오언율시 275수가 있다. 그밖에 일본 석전준(釋全俊)의 「증이생(贈李生)」, 안남 사신의 「과길주조문승상(過吉州弔文承相)」 및 운남의 「지위흥(支謂興)」 등의 시가 있다.

9책 이하는 모두 우리나라의 명시를 편집한 것이다. 9책에는 오언고시 212수, 오언율시 155수가 있고, 10책에는 오언율시 195수, 칠언율시 192수가 있으며, 11책에는 오언절구 98수 및 칠언절구 386수가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중국과 우리나라를 비롯한 한자 문화권 내의 역대 한시 중 모범이 될 만한 것들을 거의 망라한 시문집이다. 조선 후기 시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구선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