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 온달동굴 ( )

단양 온달동굴
단양 온달동굴
자연지리
지명
국가유산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하리에 있는 석회동굴.
이칭
이칭
온달동굴, 영춘남굴, 지산굴, 남굴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단양 온달동굴(丹陽 溫達洞窟)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지구과학기념물/천연동굴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천연기념물(1979년 06월 21일 지정)
소재지
충북 단양군 영춘면 온달로 23, 외 45필 (하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하리에 있는 석회동굴.
명칭 유래

온달장군이 수양하였다는 전설이 남아 있어 온달굴이라 하며, 온달성(溫達城) 밑에 있다고 하여 지산굴(地山窟)·남굴(南窟)이라고도 한다.

자연환경

온달동굴은 주굴과 지굴의 길이가 800m이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면적은 307,269㎡이다. 남한강변, 그것도 하천류가 내려치는 침식강변에 그 입구가 있으므로 한강수위가 높아지면 동굴류의 수위도 이와 비례한다. 그러므로 한강물이 계속 이 굴속을 드나들었던 관계로 진동굴성(眞洞窟性) 생물은 찾아볼 수 없다.

지형경관이 매우 화려하고 아름다우며 글자 그대로 지하복마전(地下伏魔殿)을 이루고 있다. 석회암층 담백색 종유석과 석순 등이 잘 발달되어 내부 비경이 웅장하고 동굴의 진입로가 수평을 이루고 있다. 지하 수량이 풍부하여 현재까지도 생성물이 자라고 있으며 노래기, 지네, 곤충, 포유류 등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형성 및 변천

석회동굴은 석회암의 용식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석회동굴은 지하수계에 의해 발달하는 것으로서 지하수계는 언제나 새로운 동굴을 만들며 구유로(舊流路) 뒤에는 우리가 말하는 동굴이 남는다.

온달동굴의 지층은 고생대 대석회암통에 속하고, 지질연대는 약 4억∼5억년 전이며 동굴의 형성시기는 약 10만 년 이내로 볼 수 있다.

현황

관광측면에서 볼 때, 교통의 요지에 위치하고 낮은 강변에 있어 여러 면에서 편리하고, 온달성·구인사(救仁寺), 그리고 강가의 토성(土城)과 송파서원(松坡書院), 부근의 자연풍치 등으로 개발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1966년부터 학술조사가 시행되어 1975년 잠시 공가하였으나 지리적 여건으로 잠시 폐쇄하였고, 1997년 11월에 개방하였다. 온달동굴은 1979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온달동굴이 위치한 온달관광지에는 온달과 평강을 주제로 한 테마공원, 온달 전시관이 있다. 또한 이곳에는 태왕사신기와 연개소문 촬영지로 유명한 곳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지형』(권동희, 한울, 2006)
『자연문화재지도: 천연기념물, 명승, 사적 및 명승』(문화재청, 2000)
『한국의 석회동굴』(홍시환, 한국동굴학회, 1983)
『한국의 자연동굴』(홍시환, 금화출판사, 1979)
「남굴」(한성인, 동굴 2·2, 한국동굴학회, 1976)
단양군관광포탈(http://tour.dy21/net)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