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 ( )

목차
관련 정보
완주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완주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에 소재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천왕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완주 송광사 소조사천왕상(完州 松廣寺 塑造四天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천부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7년 06월 12일 지정)
소재지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569번지 송광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에 소재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천왕상.
내용

높이 4.2m. 199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사천왕상은 조선시대 사천왕상 가운데 가장 빼어난 작품성을 지닌 조각상이다. 정확한 제작 연대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최소한 1649(인조 27)년 이전에 완성된 것은 확실하다고 보고 있다.

송광사 사천왕상은 임진왜란 이후에 행해진 일련의 사찰 재건 사업에서 당시 팔도 도총섭(八道都摠攝)이었던 벽암각성 대사(碧巖覺性大師)가 주도한 장인 계열을 중심으로 제작하였던 승주 송광사, 화엄사와 더불어 동시대에 만들어진 작품이다.

이 세 사찰은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벽암 문도들이 임진왜란 당시 의승군의 활동이 활발하였다는 점에서 사천왕의 호국 · 호법 정신과 맞닿아 있다.

이 상은 조선 후기 사천왕상 가운데 작품의 완성도가 가장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전체적인 신체의 균형이 조화로울 뿐만 아니라 재질이 소조이기 때문인지 얼굴의 주름살까지도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활달한 몸의 움직임과 함께 분노상이 잘 드러난 얼굴 표정은 이 작품의 우수성을 대변하고 있다. 4위(位) 모두 한쪽 다리는 악귀가 받들고 있고 다른 한쪽 다리는 수직으로 내리고 있다.

1994년 10월 사천왕상 개채 보수 작업 중에 보탑을 든 사천왕상의 보관 끈 뒷면과, 왼손에 받쳐 든 보탑의 밑바닥에서 묵서의 명문이 발견되었고, 여러 점의 복장품들이 나왔다.

보관 끈에는 “順治乙丑年十月日畢金山畵面主造?爲?(순치을축년시월일필금산화면주조?위?”라고 씌어 있었다. 송광사 개창비에는 숭정(崇正) 병자(丙子)년에 법당과 동서 재료(齋寮)를 완성하고 단청을 시채(施彩)하였으며 천왕전은 여인(呂仁)이라는 승려에 의하여 완성되었다고 한 점으로 보아 1636년과 1649년 사이에 사천왕상이 제작되었음을 시사한다. 보탑 밑바닥에는 건륭(建隆) 51년(1786)에 중수하였다는 사실이 적혀 있다.

복장품으로는 용, 보주를 든 사천왕상을 제외한 3위(位)의 천왕상의 등 부분 속에서 법화경과 화엄경을 비롯한 경전류와 후령통 등이 나왔다. 경전류로는 정강(靖康) 정미(丁未)년(1129)과 천계(天啓) 8년(1443)에 제작된 귀중한 목판본이 포함되어 있다.

참고문헌

「송광사개창비(松廣寺開倉碑)」(노명신, 『불교학보』 3.4합집, 1966)
「조선후기 사천왕상에 대한 고찰」(노명신, 『미술사학연구』 202, 한국미술사학회, 1994)
「송광사 사천왕상에 대한 고찰」(노명신, 『불교미술연구-송광사 특집호』 5, 동국대학교불교미술문화재연구소, 199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