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암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외암문집
외암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권석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권석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아들 병국(炳國)이 수집한 것을 1934년에 손자 중억(重億)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 권말에 유연구(柳淵龜)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68수, 서(書) 35편, 잡저 9편, 서(序) 5편, 권3·4에 기(記) 6편, 발(跋) 4편, 잠 1편, 상량문 4편, 축문 1편, 제문 16편, 애사 4편, 유사 4편, 부록으로 행장·묘갈명·묘지명·가장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잡저 중 삼정문제에 관하여 올린 「대삼정책(對三政策)」에서는 우리나라가 전부(田賦)는 옛 법을 따르지 않고 군적(軍籍)은 교련을 실시하지 않으며 환곡은 혼잡하여 팔도의 폐단을 이루고 있으니, 검소한 생활습성을 익히고 사치하는 풍조를 없애며 인과 덕을 베풀어 무너진 기강을 바로잡으면 삼정의 폐단은 자연적으로 개혁될 것이라 하였다. 또, 진성(眞城)은 다른 읍과 달리 세금이 많이 부과됨을 지적, 시정을 촉구하였다.

「태극동정설(太極動靜說)」과 「성자도지형체설(性者道之形體說)」·「양심과욕설(養心寡欲說)」·「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 등은 퇴계학(退溪學)의 이론에 바탕한 저작들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