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광정명 ()

목차
국악
작품
현행 종묘제례악 중 초헌에 연주되는 보태평지악의 여덟번째 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현행 종묘제례악 중 초헌에 연주되는 보태평지악의 여덟번째 곡.
내용

일무(佾舞:사람을 여러 줄로 벌여 세워 추게 하는 춤)는 문무(文舞)가 추어지고 등가(登歌)에서 음악을 연주한다.

세조 때 보태평지악의 제7·8변으로 사용되었던 「용광」과 「정명」을 합하여 인조 때 한 곡으로 만든 것이다. 그리고 이 합하여진 곡도 새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제된 보태평지악의 제7·8변인 「창휘(昌徽)」와 「정명(貞明)」을 축소하여 만든 곡이다.

노랫말도 세종 때 태종과 원경왕후의 덕을 찬양한 4언10구의 「창휘」와 「정명」에서 줄여서 4언12구로 사용하였다. 곡명은 각각 노래말 중 ‘혁재용광(赫哉龍光)’, ‘의여정명(猗歟貞明)’에서 따온 것이다.

노래말은 다음과 같다.

천자가 바야흐로 노하시니 나라 사람들이 근심하고 두려워하도다 / 거룩하신 태종께서 천자께 말씀하와 충성된 마음을 나타내시도다 / 천자에게 어여삐 뵈이시니 아아 빛나도다 임의 영광이여! /어여쁘시고 거룩하신 어머님께서는 갈도군왕의 배필이 되셨도다 / 난리를 평정하심에도 모의에 내조하심이 실로 훌륭하였도다 / 아아 그처럼 바르시고 맑으심이여 도움을 베푸시기 끝이 없으리![天子方懠 邦人憂惶 聖考入奏 忠誠以彰 媚于天子 赫哉龍光 思齊聖母 克配乾剛 戡定厥亂 贊謀允臧 猗歟貞明 啓佑無疆]

원래의 임종궁평조(林鍾宮平調)에서 황종궁평조(黃鍾宮平調)로 바뀐 5음 음계의 곡이다.

박(拍)은 구마다 한 번 들어갔고, 장단은 크게 박 넷으로 한 장단이 이루어졌으나 현행의 것은 모두 불규칙적이다. 종지형은 하일(下一)에서 하오(下五)에 이르는 하행종지형이다. 『대악후보(大樂後譜)』·『속악원보(俗樂源譜)』·『시용무보(時用舞譜)』 등에 악보가 전한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대악후보(大樂後譜)』
『속악원보(俗樂源譜)』
『시용무보(時用舞譜)』
『한국음악』 2(국립국악원, 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