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문몽유록 ()

목차
한문학
작품
조선 후기에 신착(愼屢)이 지은 한문소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신착(愼屢)이 지은 한문소설.
내용

조선 후기에 신착(愼屢)이 지은 한문소설. 1책. 한문필사본. 표제의 좌측 상단에 종서(세로글씨)로 ‘夢遊錄(몽유록)’이라 적혀 있고 우측 상단에는 ‘金烏(금오)·龍門(용문)’이 두 행으로 적혀 있다. <금생이문록 琴生異門錄>의 이본인 <금오몽유록 金烏夢遊錄>과 합철되어 있다.

<용문몽유록>의 분량은 15쪽으로 1쪽은 10행, 1행은 18자로 된 모두 2,600여 자의 작품이다. 일본 대판부립도서관(大阪府立圖書館)에만 소장되어 있다. <용문몽유록>의 작자 신착과 작품의 내용으로 보면 저작시기는 정유재란 이후인 1600년대 중반쯤으로 추측할 수 있다.

거창(居昌)·안의(安義) 지방에 널리 유포된 이야기이다. ≪거창신씨세보 居昌愼氏世譜≫·≪거창읍지≫·≪안의읍지≫ 등의 기록으로 보면 ‘황석산전투(黃石山戰鬪)’에 얽힌 이야기를 토대로 하여 전쟁과 그 이후의 처리가 잘못되었음을 작자 자신(黃溪子)의 몽중세계를 빌려 비판한 몽유록계 소설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지 30여 년이 되었을 때에 <용문몽유록>의 주인공 황계자가 그 누이를 만나러 가다가 용문암(龍門庵)이라는 곳에서 하루를 묵게 된다. 그때 한 꿈을 꾼다. 꿈 속에서 정유재란을 당하여 황석산전투를 치르면서 죽은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그들을 황석제공(黃石諸公)이라 부른다.

그들의 억울한 죽음이 있게 된 이유와 자신들의 문호(門戶 ; 대대로 내려오는 그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가 쇠락한 것을 슬퍼하면서 황계자에게 자신들의 문호를 다시 세워 줄 것을 부탁한다. 당시에 ‘황석산싸움’이 일어났을 때에 곽준(郭逡)의 지휘로 산성을 잘 지켜나갔다.

그러나 김해부사를 지낸 백사림(白士霖)이라는 사람이 휘하에 있었을 때에 왜적의 침공에 두려움을 느낀 백사림은 밤에 그의 가족을 이끌고 성문을 나갔다. 그 순간에 적군의 공격을 받아 성안의 많은 장수와 인민이 죽게 되었다.

그 때에 죽은 곽준의 부자와 유금천(柳金川)의 부자 등도 나타나 후세의 사람들이 백사림의 행적을 공박하지 않음을 잘못이라고 지적한다. 동석한 사람 중에서 백사림을 두둔하는 자는 공박을 받는다. <용문몽유록>의 전반부의 이야기가 끝난 뒤에 후반부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고려 말기의 박숙선(朴淑善)이라는 사람이 나타나 자신의 처지와 함께 산수경치에 대하여 토론을 하게 된다. 대부분 황계자의 시를 칭찬하는 내용과 그 자신의 처지를 슬퍼한다. 마지막으로 박숙선은 황계자를 위한 축수와 이에 대한 답례로 한 구절의 시를 남기고 꿈을 깬다. 그리고 몽 중에서 경험한 내용을 적게 되는 것이 작품의 줄거리이다.

<용문몽유록>은 대부분의 몽유록계 소설이 가지고 있는 구조를 따랐다. 작자가 명시된 점이 특이하다. 그리고 정유재란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는 이 계통의 소설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작품이다. 다만, 구성면에서 전반부와 후반부가 상호연관성을 가지지 못함으로써 작품의 가치를 반감시킨다.

<용문몽유록>은 주제면 에서도 뚜렷한 중심을 찾기가 힘들다. 전란을 맞이한 장수의 본분이 무엇인가를 나타내면서 그 뒷처리를 담당한 위정자들의 자세에 대한 비판까지 겸하고 있다. 전쟁 그 자체와 실정(失政)이라는 두 가지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임진왜란이라는 커다란 민족적 수난을 대상으로 한 작품이 몇 안 되는 것을 감안한다면, 구성과 주제적인 면에서 다소 부족한 점이 있지만 의미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용문몽유록(龍門夢遊錄)에 대하여」(강동엽, 『한국문학연구』 14, 동국대학교한국문학연구소, 1992)
집필자
강동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