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자의 문집인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권8 문부(文部) 5 전(傳)에 들어 있다.
「장생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비렁뱅이 행세를 하는 장생(蔣生)이 기생집 오입쟁이로 풀렸다. 그는 노래를 잘 부른다. 술이 취하면 눈먼 점쟁이, 술취한 무당, 게으른 선비, 소박 맞은 여편네, 밥비렁뱅이, 늙은 젖어미 등의 흉내를 낸다. 그리고 입을 움직여 모든 악기와 조수(鳥獸)의 소리를 모사하기도 한다. 장생은 악공 이한(李漢)의 집에 하숙을 하였다. 하루는 그 집 여종이 머리꽂이를 잃고서 울기에 저녁에 여종을 데리고 경복궁 담을 뛰어넘어 경회루 위에 올라 가서 머리꽂이를 찾아 준다.
장생은 그 뒤에 술에 취하여 수표다리 위에서 죽었다. 그런데 시신이 썩어서 벌레로 화하여 날아가 버렸다. 그의 친구 홍세희(洪世熹)가 조령(鳥嶺)을 넘다가 그를 만났다. 그는 홍세희에게 자기가 실은 죽은 것이 아니다고 하면서 저 동해 속의 한 이상적인 섬나라를 찾으러 간다고 하였다. 그는 홍세희에게 몇 가지 예언을 남겼다. 그 뒤에 그의 예언은 모두 현실로 나타난다.
「장생전」과 비슷한 이야기를 담은 글들이 『해동이적(海東異蹟)』이나 김려(金鑢)의 『담정총서(藫庭叢書)』에서 보인다. 그 구체적 내용이나 길이가 약간씩 다를 뿐이다. 그 당시에 「장생전」과 비슷한 이야기들이 많이 유포되고 있었던 듯 하다.
「장생전」은 허균(許筠)의 『성소부부고』에 「남궁선생전(南宮先生傳)」 · 「엄처사전(嚴處士傳)」 ·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 · 「장산인전(張山人傳)」 등과 함께 실려 있는 5편의 전 가운데 하나로 비렁뱅이 장생이 주인공인 ‘일사소설(逸士小說)’에 속하는 작품이다.
「장생전」의 주제는 허균의 소설인 「홍길동전」에서 보여 준 율도국(硉島國)과 같은 이상향 건설에 작자의식의 지향점을 알 수 있다. 구성면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4개의 짧은 이야기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서로 상호보완의 의미가 없이 단지 주인공을 중심으로 한 시간적 비약에 따라 결구되어 있다. 「장생전」은 문학사에 있어서 허균의 현실비판의식과 이상향 추구 정신이 조선 후기 박지원(朴趾源)의 한문단편에까지 계승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