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이적 ()

목차
관련 정보
해동이적
해동이적
도교
문헌
조선후기 문신 · 학자 홍만종이 단학설화를 인물별 · 시대별로 배열하고 평설을 달아 1666년에 간행한 전기.
이칭
이칭
해동이적전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 학자 홍만종이 단학설화를 인물별 · 시대별로 배열하고 평설을 달아 1666년에 간행한 전기.
내용

불분권 1책. 목활자본. ‘해동이적전’으로 불리기도 한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으며, 그 밖에 『홍만종전집』에도 수록되어 있다.

정두경(鄭斗卿)의 서문과 홍만종의 자서(自序) 및 목차, 송시열(宋時烈)의 발문이 있다.

발문의 기년이 1670년(현종 11) 8월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간행연대는 그 이후라고 생각된다. 단군에서부터 시작하여 곽재우(郭再祐)에 이르는 38명을 32항으로 나누어 편술하였다.

수록된 인물은 단군·혁거세·동명왕·사선(四仙: 述郎·南郎·永郎·安詳)·옥보고(玉寶高)·김소이선(金蘇二僊: 金孝謙·蘇嘏)·대세(大世)·구칠(仇柒)·참시(旵始)·김가기(金可記)·최치원(崔致遠)·강감찬(姜邯贊)·권진인(權眞人)·김시습(金時習)·홍유손(洪裕孫)·정붕(鄭鵬)·정수곤(丁壽崑)·정희량(鄭希良)·남추(南趎)·지리선인(智異仙人)·서경덕(徐敬德)·정렴(鄭렴)·전우치(田禹治)·윤군평(尹君平)·한라선인(漢拏仙人)·남사고(南師古)·박지화(朴枝華)·이지함(李之菡)·한계노승(寒溪老僧)·유형진(柳亨進)·장한웅(張漢雄)·남해선인(南海僊人)·장생(蔣生)·곽재우 등이다.

홍만종은 불로장생의 가능성과 초능력을 획득한 실례를 사서(史書)·문집·만록 등에서 찾아 원문을 뽑고, 그에 대한 평설과 자신의 견해를 달아 놓았다.

이 책에서 주목되는 점은 우리나라 고유의 선파 인물과 수련도교와 관련 있는 단학파 인물들을 함께 다루었다는 것으로, 단학파의 도맥이 제시되어 있는 『해동전도록』에 수록된 인물이 김가기를 비롯하여 11명 포함되어 있다.

이는 선파와 단학파의 합류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다. 자료들을 빠짐없이 망라했다고는 보기 어려우나, 우리나라의 도교사상 및 신선사상 연구에 귀중한 자료집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도교사상(홍만종전집)』(차주환, 동화출판공사, 1984)
『홍만종전집』상·하(태학사 영인, 1980)
『조선도교사』(이능화 저, 이종은 역, 보성문화사, 197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차주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