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암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학자, 박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7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학자, 박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7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778년(정조 2) 후손들이 간행하였다. 권말에 정간(鄭幹)·이상정(李象靖)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 연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64수, 부(賦) 2편, 서(書) 24편, 잡저 8편, 서(序) 1편, 제문 6편, 묘표 1편, 행장 1편, 가전(家傳) 1편, 행적 1편, 권3에 격몽편(擊蒙編), 자양심학지론(紫陽心學至論), 권4는 부록으로 묘갈명·정려비음기(旌閭碑陰記)·사우문인록(師友門人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에는 이황(李滉)·김취성(金就成)·황여헌(黃汝獻)·이언적(李彦迪)과 종유(從遊)하면서 경학(經學)·예학(禮學) 등에 걸쳐 질의 문답한 내용들이 많다.

잡저에는 당시의 풍속 등을 적은 「수사잡록(隨事雜錄)」, 관동지방을 돌아보고 그 경개를 적은 「관동행록(關東行錄)」 등이 있고, 서(序)에는 자신이 병의 퇴치에 대하여 저술한 『위생방(衛生方)』을 풀이한 글이 있다.

「격몽편」은 그의 일생 사업으로 정이(程頤)와 주희(朱熹)가 거경(居敬)·궁리(窮理)에 대하여 말한 것 중에서 더욱 절실하고 긴요한 것만을 뽑고, 이황의 시정(是正)을 거쳐 이루어진 편집서이다. 이이(李珥)는 이 편집서에 대해 그 정밀함과 정연(整然)함을 칭송해 마지않았다 한다.

「자양심학지론」은 주희가 마음을 다스리는 데 대하여 말한 것 중에서 더욱 절실한 것만을 뽑아 늘 책상 위에 놓고 밤낮으로 숙독하고 후학을 계도한 것이다. 이 편집서의 끝에는 아들 호(灝)의 발문, 이황의 묘갈명, 김치성의 묘지명이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