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 용연사 금강계단 ( )

목차
관련 정보
달성 용연사 금강계단 정측면
달성 용연사 금강계단 정측면
건축
유적
문화재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용연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건립된 계의식 관련 계단. 보물.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용연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건립된 계의식 관련 계단. 보물.
내용

197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m. 돌로 만든 계단으로, 돌난간으로 테두리를 두른 탑구(塔區) 안에 있다. 앞에는 배례석(拜禮石)과 함께 석등이 서 있고, 다시 그 앞쪽에는 법당이 있다.

계단은 위아래 2층의 받침돌 위에 석종형(石鐘形) 몸돌을 올린 모습이다. 위아래 받침돌은 여러 장의 큰 돌과 널돌로 면석과 덮개돌을 조립하였다. 위층 받침돌의 면석에는 좌우 양쪽의 기둥과 함께 가운데 기둥이 가지런하게 조각되었는데, 가운데 기둥의 좌우 양쪽면에는 각각 1구씩, 각 면마다 2구씩 모두 8구의 8부중상(八部衆像)이 새겨져 있다. 아래층 받침돌 바깥쪽의 네 귀퉁이에는 4천왕상(四天王像)으로 보이는 신장상(神將像)이 1구씩 배치되어 있다.

위층 받침돌의 덮개돌은 제법 두툼하고 널찍한 편인데, 가운데부분에는 하나의 돌로 만든 높직하면서 네모난 굄돌이 놓여 있다. 굄돌의 윗면에는 높고 낮은 2단의 둥근 굄이 돋을새김되었고, 굄 위에는 몸돌이 올려져 있다. 몸돌은 조선 후기에 흔히 조성된 석종형으로, 가운데부분은 넓지만 위아래부분은 점차 좁아진 모습이다. 윗부분에는 2장의 꽃잎을 아래로 내린 가늘고 긴 복련(覆蓮)의 연꽃무늬가 둘러 새겨져 있고, 정상 부분은 1단의 굄을 돋을새김하고서 꽃잎이 위로 솟은 앙련(仰蓮)의 2중 연꽃무늬를 조각한 다음, 연꽃 봉오리 모양의 보주(寶珠)로 장식하였다. 윗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아무런 조각이 없지만, 윗부분의 장식이 받침돌의 장엄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용연사에는 석가모니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모시고서 계단을 만들었다는 과정을 적은「석가여래부도비(釋迦如來浮屠碑)」가 세워져 있다. 1676년(숙종 2)에 건립된 이 비에는 “세계축오월오일탑성고오척오촌(歲癸丑五月五日塔成高五尺五寸)”이라고 하여, 1673년(현종 14)에 높이 5척 5촌의 계단을 조성하였다고 적혀 있다. 이밖에도 1754년(영조 30)에 건립한 용연사 사적비(龍淵寺事蹟碑)와 1934년에 세운 석가여래중수비(釋迦如來重修碑)가 있어서 석조계단의 내력을 알 수 있다.

지금은 1934년에 주변을 깨끗이 정리하면서 계단을 고쳐 수리한 모습이지만, 계단 자체는 1673년에 건립한 원래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6 보물4(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조선 탑파의 연구』(고유섭, 을유문화사, 1954)
「한국석조계단고」(장충식,『불교미술』4, 동국대학교박물관, 197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영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