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9년 권뢰의 증손 권오영(權五永)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있다.
9권 5책. 목활자본. 연세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268수, 권3·4에 상언(上言) 1편, 장(狀) 1편, 서(書) 17편, 잡저 13편, 권5에 서(序) 9편, 기(記) 5편, 발(跋) 7편, 명(銘) 1편, 상량문 1편, 축문 1편, 권6에 제문·비명·가장(家狀)·실록·기실 각 1편, 권7·8에 일기 5편, 권9에 행장·가장·제문·만사 각 1편, 속편으로 시 5수, 제문 1편, 묘지 1편, 부속집문록서(附續集問錄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서원을 다니면서 유생들과 함께 차운(次韻)한 것이 주류를 이룬다. 잡저 가운데 「유덕유산록(遊德裕山錄)」에는 덕유산의 경치와 누각 등의 내력을 담고 있다. 「삼정책(三政策)」은 당시 전부(田賦)·군적(軍籍)·환곡(還穀)의 폐단을 지적하고 그 대책을 적어 올린 글로 왕의 회답이 아울러 실려 있다.
「서성학십도감이망의화차삼도(書聖學十圖敢以妄意畫此三圖)」에서는 이황(李滉)의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자신의 관점에서 제일인심도심도(第一人心道心圖)·제이성기도(第二誠幾圖)·제삼사무사도(第三思無邪圖)로 구성하여 심학(心學)의 요체를 밝혔다. 「사시십이월성수고갑자도(四時十二月星數古甲子圖)」에서는 천시(天時)를 음양의 원리에 따라 분류하여 놓았다.
「독탁영선생서육현배유감(讀濯纓先生書六絃背有感)」에서는 육현 뒤에 학을 그려 넣은 김일손(金馹孫)의 뜻을 자기 나름대로 풀이하였다. 이밖에도 6대조 권용현(權龍見)에 대한 기록이 담겨 있는 「경행일록(京行日錄)」·「청장갈문일기(請狀碣文日記)」·「동정일기(東征日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