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정굴 ()

철원 용정굴
철원 용정굴
자연지리
지명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로리에 있는 석회동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로리에 있는 석회동굴.
개설

용정산의 능선에 있으며 해발 250m 지점의 북향사면에 있다. 총연장은 130m이고, 주동굴의 연장은 87m이다. 용정굴은 구조지층적면에서 사암 및 응회암동굴이며, 지형적 측면에서는 수직동굴이다.

자연환경

동굴 속에는 종유관·종유석·석순·유석(流石)을 비롯한 여러 가지 동굴퇴적물들이 동굴 하층부의 넓은 광장에 집중, 발달하고 있다. 동굴 내부의 기온은 상층부가 10℃(3월), 하층부가 8.5℃(3월)이고, 수온은 6℃(3월), 습도 70%이다. 동굴생물로는 관박쥐·붉은박쥐·곰동이·나방·거미류 등의 외래성 동물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형성 및 변천

지층은 중생대 쥐라기의 대보화강암층에 발달된 동굴로 사암·역암(礫岩)·응회암층(凝灰岩層)의 구조를 이룬다. 동굴은 2차적인 형성단계를 거친 동굴이다. 즉, 흡인형 수직굴(垂直窟)과 절리(節理 : 갈라진 틈)에 따른 수평굴(水平窟)의 복합적으로 된 장년기동굴(壯年期洞窟)이다.

산지사면에 있는 마쇄지점으로부터 지표수가 흡인(吸引)되어 땅속으로 스며 들어가면서 수직동굴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넓은 공동을 이루었다.

다시 계속 밑으로 스며든 지하수는 그 동굴 속에서 수평적으로 흘러 나아가면서 수직공동 밑에 또 하나의 수평동굴을 형성한다. 이 하층부에 생긴 수평동굴은 천정의 절리면이나 구조선에 따라 방향이 결정되는데 남북향향으로 발달하였다.

지하수평동굴의 천정에서는 그 지층 위에서 스며내린 석회질의 용해수적(溶解水滴)이 종유석과 석순 등의 동굴퇴적물을 성장시켰다. 이때 석회질용액은 지질내부에 협재되어 있는 석회암이나 사암층 그리고 응회암의 용해(溶解)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자연동굴(自然洞窟)』(홍시환, 금화출판사, 1979)
『한국(韓國)의 석회동굴(石灰洞窟)』(홍시환, 한국동굴학회, 1983)
「용정동굴(龍井洞窟)의 현황보고(現況報告)」(홍시환, 한국동굴학회지 V.11 N0.12, 1985)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