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화사 약사여래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장흥 용화사 약사여래좌상
장흥 용화사 약사여래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북교리 산 43번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목차
정의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북교리 산 43번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내용

전체 높이 2.5m. 1974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석불은 인가가 드문 야산 협곡에 사찰이라고 할 수도 없는 어느 개인의 조그마한 암자에 안치되어 있다.

1매의 화강석재를 가공하여 불상과 광배를 조성하였는데, 좌상이기는 하나 불상 밑부분이 땅에 묻혀 보이지 않으며, 그 위에는 시멘트를 발라 고정시켜 놓았다. 관리인의 말에 의하면 원래부터 파손되어 다리부분 이하는 없었다고 한다.

불상의 머리는 나발(螺髮)이며, 육계(肉髻)는 소발(素髮)인데, 아래 부분만 나발로 돌렸다. 눈은 무아세계로 들어간 듯이 반쯤 뜨고 있으며 귀는 어깨 위까지 내려와 있고 코는 우뚝하다. 목에 삼도(三道)가 희미하게 보이며, 왼손은 약항아리를 들고 있는 형태를 취했으나 현재 약항아리는 없다.

오른손은 어깨부분부터 떨어져 나간 상태이나 시무외인(施無畏印)을 취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 법의는 통견(通肩)이며 옷의 주름은 평행단상(平行段狀)으로 배 아래에서 군의(裙衣)의 띠와 매듭이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 광배는 주형광배(舟形光背)로 머리 뒤에는 원형의 두광(頭光)이 있다.

광배의 위쪽 둘레의 일부가 떨어져 나갔는데, 그 파편을 보면 복판연화문(復瓣蓮花文)을 두르고 그 안에 5엽의 화문과 화염문이 여백 없이 채워져 있다. 이러한 양식의 약사여래상은 통일신라시대 이후 8세기경부터 9세기에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며, 두광에 보이는 복판연화문은 신라적인 전통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얼굴 표정에 다분히 이국적인 분위기가 감돌고 있어 조성연대는 고려 초기 전으로는 내려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