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목판본. 5대손 방유(邦維)의 편집을 거쳐 1898년 후손 진택(鎭澤) 등이 간행하였다. 4권말에 방유의 발문이 있고, 부록말에는 진택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21수, 부(賦) 3편, 잠(箴) 2편, 명(銘) 1편, 서(書) 15편, 서(序) 2편, 통문 1편, 잡저 1편, 책(策) 3편, 제문 3편, 행장 1편, 묘지 1편, 권3·4는 부록으로 가장·행장·묘갈명 각 1편, 만사 26수, 제문 2편, 봉안문 1편, 축문 2편, 상량문 1편, 관감록초(觀感錄抄) 1편, 행록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의 「정성기서(定性紀序)」는 『주자대전(朱子大全)』과 『주자어류(朱子語類)』 중에서 요점만을 간추려 ‘정성기’라는 이름을 붙여 5편으로 엮고 그 책에 붙인 서문이다.
「낙사계조약서(洛社契條約序)」에서는 선왕의 예악이 시행되지 않아 명리만을 추구하는 폐습이 생겼다고 전제하고, 동지들에게 이 조약을 수행하면 풍화에 도움이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잡저의 「경설(經說)」은 사서오경을 비롯, 『효경』·『이아(爾雅)』 등에 대하여 간단명료하게 설명을 붙이고, 육예(六藝)·오성(五性)·사단(四端)·칠정(七情)에 대해서 경전을 인용하여 설명한 것이다.
이밖에 「천인책(天人策)」·「호현책(好賢策)」·「풍속책(風俗策)」 등은 당시의 시폐와 정치적 문제점을 성리학적 원리에서 개혁할 것을 논한 것으로, 16,17세기의 정치·사회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