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님의 명판결 (님의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원님이 재판으로 백성들의 억울한 사정을 지혜롭게 해결해준다는 내용의 설화.
내용 요약

「원님의 명판결」은 원님이 재판으로 백성들의 억울한 사정을 지혜롭게 해결해준다는 내용의 설화이다. 사건 해결의 주체가 되는 원님은 관(官)을 상징하며, 관의 우위에 입각하여 관과 민의 화합을 다루고 있다. 효, 열, 신의 등의 윤리를 판결 기준으로 삼는 유형의 설화에서는 민중의 교화와 미풍양속의 진작이 주제가 된다. 원님의 판결은 자신의 권위를 위해서가 아닌, 민중의 고난을 이해하고 해결해 주려는 노력에서 비롯된다. 관이 주도하고 민중의 기대에 부합한 판결이라는 요소를 근간으로 전승되어 온 이야기이다.

정의
원님이 재판으로 백성들의 억울한 사정을 지혜롭게 해결해준다는 내용의 설화.
내용

원님이 재판으로 백성들의 억울한 사정을 지혜롭게 해결해주는 설화는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① 처음부터 원님이 공정하게 사건을 해결하는 설화가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명판결담이라 할 수 있다. 대개 함정 · 탐문 · 기지의 방법으로 범인을 잡아 사건을 해결한다. 여기에 속하는 작품군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사람을 혐의자로 보고 비논리적 재판으로 범인을 잡는 「장승재판」과 이상한 중의 모습에 착안하여 관원이 범인을 잡는 「목화동냥」, 그와 유사한 「소 찾아주기」 · 「소 판 돈 잃은 원인 찾기」 · 「닭 잡아주고 쓴 살인 누명 벗겨주기」 등이 있다.

둘째,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갈등을 명쾌히 해결한 「잃은 닭 찾아주기」 · 「매값 변상」 · 「새소리 잘 듣는 사람」 · 「유산 찾아주기」 등이 있다.

셋째, 함정 수사에 의해 증거를 잡는 「곡소리 안 들은 상옷」 · 「범인의 칼 찾기」 · 「의리를 배반한 사람 벌 주기」 · 「속여서 벌 주기」 등이 있다.

넷째, 사람들의 약점을 이용하여 범인을 잡는 「약점으로 범인 잡기」 · 「이웃집 들렀다가 범인 잡기」 등이 있다.

② 불공정한 판결을 다시 처리하여 사건을 해결하는 설화가 있다. 이 유형의 설화에서는 주2이 강조되며, 백성을 보호하면서도 가해자에게도 억울함이 없도록 처리하는 원님의 지혜가 드러난다. 「옹깃값 물어주기」 · 「갓값 물어주기」 · 「강간인가, 화간인가」 등이 있다.

③ 윤리를 강조한 설화가 있는데, 원님은 효(孝) · 열(烈) · 신의(信義) 등을 이용하여 사건을 해결한다. 이런 이야기로는 「대신 감옥 가는 효자와 열녀」 · 「금주령을 어긴 범인 찾기」 · 「효자 판결」 · 「혼인시킨 어사」 등이 있다.

④ 훌륭한 원님에 대한 백성들의 기대에 부응하도록, 특정 인물이 명판결을 내리는 설화가 있다. 고창령(高昌寧), 박문수(朴文秀), 황희(黃喜)의 판결 이야기가 여기에 속한다.

특징

원님이 백성들의 억울한 사정을 해결해 주는 설화의 서사 구조는 예비 상황부 · 사건 진행부 · 해결 단평부의 구조를 따른다. 가해자와 피해자가 서로 대립, 갈등하게 될 때 해결자로서 원님이 등장하여 사건을 해결하게 된다. 대부분 판결자인 원님의 해결 과정(방법)에 중점을 두고, 불완전한 행복(幸福) · 불행(不幸)에서 재판 과정(해결 과정)을 통해 점차 완전한 행(幸)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피해자는 원래 상태를 회복하게 된다.

사건 해결의 주체가 되는 원님은 관(官)을 상징하며 민중보다 절대 우위에 서 있게 된다. 그리고 원님이 내리는 판결은 자신의 지위나 권력을 위한 것이 아니라 민중의 고난을 이해하고 해결해 주려는 노력에서 비롯된다. 이를 위해 원님은 법과 윤리를 넘어서 때로는 재치와 기지를 발휘하기도 한다.

의의 및 평가

훌륭한 원님이 등장하는 대부분의 설화에서는 '관의 우위에 입각한 관과 민의 화합'을 중시한다. 선정을 열망하는 민중의 기대에 부합하도록 관이 주도하여 내리는 판결이라는 요소를 근간으로 전승되어 온 것이라 볼 수 있다. 한편 효, 열, 신의 등의 윤리를 강조한 설화는 민중을 교화하고 주3을 북돋우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논문

이인경, 「口碑 ‘訟事說話’의 재해석과 현재적 의미」(『구비문학연구』 25, 한국구비문학회, 2007)
이헌홍, 「한국 송사설화 연구」(『국어국문학』 34,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1997)
정인관, 「훌륭한 원님 설화의 구조와 의미」(『청람어문학』 1,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1988)
정재민, 「재판설화의 양면성 연구」(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주석
주2

백성을 바르고 어질게 잘 다스리는 정치. 우리말샘

주3

아름답고 좋은 풍속이나 기풍.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