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미도 ()

자연지리
지명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육계도.
이칭
이칭
제물도(濟物島), Rose Island
지명/자연지명
소재지
인천광역시 중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월미도(月尾島)는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육계도이다. 육지와 연결된 후 섬의 모습을 찾기 어렵지만, 월미산이 과거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인천 개항을 전후하여 외세의 각축장이 되었다가 2001년 월미관광특구 지정이후, 인천 지역의 대표적인 관광지가 되었다. 현재 매년 ‘월미관광문화축제’가 열리고 있다.

정의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육계도.
개설

월미도(月尾島)는 원래 주1였으나, 1920년대에 돌 축대를 통해 육지와 연결되어 현재는 섬의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월미도의 역사와 지명이 인천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명칭 유래

월미도 명칭의 유래는 월미도(月尾島), 어을미도(漁乙未島 · 於乙味島), 어미도(於味島), 얼미도(突尾島) · 얼도(突島) · 월성(月星) 등이 있다. 한때 제물도(濟物島)라고 부른 적도 있다. ‘얼’이라는 글자는 ‘얼다’ 곧 ‘사랑하다’, ‘어르다’의 의미이고, ‘미’는 ‘물[水]’를 의미하한다. 결국 월미도는 ‘물이 섞이는[어르는 · 휘감아 도는] 섬’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주2에는 ‘Rose Island’로 외국에 알려지기도 하였다.

자연환경

육지가 되기 전의 이 섬의 둘레는 1㎞이고, 육지와의 거리는 1㎞인 아담한 섬이었으며, 남쪽에는 소월미도가 있었다. 소월미도와 함께 인천내항의 북서쪽 방파제 역할을 하였다. 섬 중앙에는 월미산(해발 108m)이 있다. 월미산은 군부대가 주둔하여 2001년 이전까지 출입이 제한된 곳이었다. 2001년 이후에는 자연 생태계가 잘 보존된 생태 공원으로 개방되었다. 인천광역시 지역의 기후 자료(1991년~2020년)에 따르면, 평균 기온은 12.5℃, 1월 평균 기온은 -1.5℃, 8월 평균 기온은 25.6℃이고, 연강수량은 1,207.4㎜이다.

형성 및 변천

월미도는 본래 인천 도호부 관할이었으나 1653년(효종 4) 영종진이 설치된 후 그에 편입되었다. 월미도에는 조선 후기 임금의 임시 거처인 행궁이 설치되었고, 행궁은 존속 주3 내내 영종진 관할이었다. 월미도 행궁은 대체로 18세기 전반까지는 유지되었다.

총독 주4가 시작되면서 월미도를 풍치지구(風致地區)로 지정하고 월미도 중턱에 순환 도로를 만들었다. 주5은 목욕탕을 개설하고 일본 요정인 용궁각(龍宮閣), 호텔, 동물원, 하계 야영 캠프촌 등을 만들어 임해 유원지로서 명소가 되었다.

1922년에 석축제도를 만들어 월미도는 육지에 속하게 되어 섬으로서의 역할이 끝났다. 그리고 1920년대 후반부터 15년간 전성기를 누리던 월미도는 태평양 주6에서 일본이 패망하고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시설이 초토화되었다. 월미도는 인천 개항을 전후하여 외세의 주7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한때 군사 주8로, 6·25 때에는 인천상륙작전의 전초 주9로, 그 뒤 미군용지로 이용된 일도 있었다.

2001년 6월 26일 문화관광부가 월미관광특구 지정의 일환으로 월미도 문화의 거리 안의 친수 주10 확장과 월미산을 개방하기로 하였다.

현황

1980년 이후 관광지가 조성되어 각종 위락 주11해수욕장 · 호텔이 갖추어져 있다. 1989년부터 꾸며진 문화의 거리에서 문화 행사인 월미축제가 열려 시민들의 문화 의식을 높이고 지방 예술 문화 주12에 기여하고 있다. 문화의 거리는 인근의 놀이공원과 함께 각광을 받는 곳이다.

2001년 6월 월미도 문화의 거리가 조성되었는데, 그 길이는 770m, 폭은 20m이다. 이 거리의 끝지점에는 바다로 난 길이 있다. 문화의 거리를 사이에 두고 오른쪽으로는 바닷가, 왼쪽으로는 카페와 횟집이 즐비하다. 이 곳에서 매년 ‘월미 관광 문화 축제’가 열리고 있다. 월미 관광 문화 축제 중에 풍어제, 인천 근해 갯가 노래, 뱃노래, 은율탈춤, 국악제 등 전통적인 춤과 노래를 즐길 수 있다.

월미도에는 국내 최장 도심형 관광 주13이 있다. 월미 바다 주14로 불리는 이 관광 모노레일은 총 운행 거리가 6.1㎞이며, 평균 시속 9㎞의 속도로 월미도를 1바퀴를 도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42분 정도이다. 월미 바다 열차의 궤도는 지상으로부터 7m에서 최고 18m 높이이며, 월미도 경관 및 인천 내항을 볼 수 있으며 멀리 서해와 인천대교까지 조망할 수 있다.

월미도와 소월미도 사이에는 인천항 주15이 위치하고 있다. 인천항 갑문은 인천 앞바다의 큰 조수 간만 주16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갑문을 통해 인천 내항으로의 입항이 가능하다. 갑문 인근의 갑문 홍보관에서는 인천항 갑문의 전경과 선박들이 갑문을 통항하는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종혁, 윤용구, 문상범, 이영태, 『인천(仁川)의 섬』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역사문화연구실, 2004)
『한국지지(韓國地誌)·지방편(地方篇) I·』 (건설부국립지리원, 1984)
『한국지명요람(韓國地名要覽)』 (건설부국립지리원, 1983)
『도서지(島嶼誌)』 (내무부, 1973)

인터넷 자료

인천광역시청(https://www.incheon.go.kr)
인천광역시 중구 문화 관광(https://www.icjg.go.kr/tour/index)
주석
주1

뭍과 잘록하게 이어진 모래섬. 우리말샘

주2

대한 제국의 마지막 시기. 우리말샘

주3

권리나 그 밖의 법률 따위가 유효한 기간. 우리말샘

주4

식민지 국가에 총독을 보내어 통치하는 제국주의적 식민지 정책. 우리말샘

주5

1902년에 대한 제국이 궁내부에 설치한 관청. 서울과 신의주 사이에 철도를 부설하기 위하여 설치하였지만, 일제가 1904년 러일 전쟁으로 군용 철도를 부설하면서 폐지되었다. 우리말샘

주6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과 연합국 사이에 벌어진 전쟁. 제이 차 세계 대전의 일부로서, 일본의 진주만 기습으로 시작되어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끝났다. 우리말샘

주7

서로 이기려고 다투고 있는 곳. 우리말샘

주8

중요한 군사 시설을 갖추고 있어서 군사 활동의 거점이 되는 곳. 해군 기지, 항공 기지, 병참 기지, 통신 기지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9

전방 초소에 해당하는 전투 기지. 우리말샘

주10

강이나 시내 따위와 잘 어우러지는 여러 시설을 마련한 공간. 우리말샘

주11

관광지나 공원 등지와 같이 사람들에게 위로와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된 시설. 우리말샘

주12

의견, 주장, 견해 따위를 거리낌이나 막힘이 없이 자유롭게 표현하고 전달함. 우리말샘

주13

선로가 한 가닥인 철도. 차체가 선로에 매달리는 방식과 선로 위를 구르는 방식 두 가지가 있다. 우리말샘

주14

바다가 펼쳐진 곳을 거쳐 가면서, 경치를 감상할 수 있도록 운행하는 특별 열차. 우리말샘

주15

운하나 방수로 따위에서 물 높이가 일정하도록 물의 양을 조절하는 데 쓰는 문. 우리말샘

주16

밀물과 썰물 때의 수위(水位)의 차.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