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

자연지리
지명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에 있는 섬.
지명/자연지명
면적
7.24㎢
소재지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연평도(延坪島)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에 있는 섬이다. 2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각각 대연평도와 소연평도로 불린다. 대연평도의 면적은 7㎢이고 소연평도의 면적은 0.24㎢이다. 해안은 주로 암석 해안으로 연안에 간석지가 넓게 분포한다. 약 2000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대부분의 주민이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정의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에 있는 섬.
개설

연평도(延坪島)는 주1와 소연평도로 나눠져 있다. 대연평도는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에서 서북쪽으로 약 83.2㎞ 떨어져 있다. 대연평도에서 남쪽으로 약 5.2㎞ 지점에 소연평도가 있다. 대연평도는 동경 125° 45′, 북위 37° 65′에 위치하며, 면적은 7.24㎢이고 해안선 길이는 16.6㎞이다. 소연평도는 동경 125° 45′, 북위 37° 56′에 위치하며, 면적은 0.24㎢이고 해안선의 길이는 5.5㎞이다.

명칭 유래

『고려사(高麗史)』 ·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의 문헌에는 연평(延坪), 연평평(延平坪)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섬의 지형이 대체로 평탄하고 들판처럼 길게 뻗어 있어 유래한 지명이라고 한다.

자연환경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저평한 주2 산지(최고 높이 127m)로 이루어져 있다. 해안은 주로 암석 해안으로 연안에 간석지(干潟地)가 넓게 분포한다. 1997년부터 2022년의 방재기상관측(AWS) 자료에 따른 1월 평균 기온은 -1.7℃, 8월 평균 기온은 25.4℃, 연 강수량은 953.6㎜이다.

현황

곳곳에 패총(貝冢)민무늬토기 · 빗살무늬토기 등이 발견되어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다고 여겨진다. 조선시대에는 해주목 송림면(松林面)에 속하였는데, 한국전쟁 이후 경기도 옹진군(甕津郡) 송림면이 되었다. 1995년에 인천광역시에 통합되었고, 1999년에 연평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연평도는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가까이 있다. 그로 인해 제1차 연평해전(1999년), 제2차 연평해전(2002년)과 연평도포격(2010년)과 같은 북한의 북방한계선 침범에 의한 교전과 도발이 여러 차례 발생했고 수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던 아픈 과거가 존재한다.

2021년 기준으로 대연평도와 소연평도가 속한 연평면의 전체 인구는 2,097명(남 1,360명, 여 737명)이고 세대 수는 1,428호이다.

토지 이용 현황은 논 0.39㎢, 밭 0.6㎢, 주4 5.28㎢이다. 대부분의 주민이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으며, 농산물로는 쌀 · 콩 · 고구마 · 땅콩 · 마늘 · 고추 등이 생산된다. 한때 조기 파시(波市)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기 어장을 형성했으나 현재는 명맥이 끊어지고 꽃게잡이 조업과 굴, 바지락 채취가 연평도 주민의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대연평도의 동쪽에는 방파제(856m)가 설치된 2종 항인 연평도항이 있고, 남쪽 끝에는 등대가 있다. 연평도는 백령도(白翎島) · 대청도(大靑島) · 소청도(小靑島) 등과 함께 서해의 어업 중심이 되는 섬으로, 북서쪽으로 휴전선(休戰線)과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전략적인 가치가 크다.

병자호란(丙子胡亂)임경업(林慶業)이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간 세자를 구하기 위해 중국으로 가던 중 선원들의 주5이 떨어지자, 연평도에 배를 대고 나뭇가지를 꺾어 개펄에 꽂아두었더니 물이 빠진 뒤 가지마다 조기가 걸려 있어, 이것이 조기잡이의 시초가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면사무소 뒷산에 임경업 장군을 기리는 충민사(忠愍祠)라는 사당이 있다. 교통은 인천에서 정기 여객선이 운항된다. 교육기관으로는 연평초등학교와 연평중고등학교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권혁재, 『한국지리; 각 지방의 자연과 생활』 (법문사, 1995)
김종혁 외, 『인천의 섬』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역사문화연구실, 2004)
『도서지』 (내무부, 1985)
『옹진군통계연보』 (옹진군, 2008)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한국지명요람』 (건설부국립지리원, 1983)
『2008군정백서』 (옹진군, 2008)

인터넷 자료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cmmn/main.do)
옹진군청(www.ongjin.go.kr)
주석
주1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속하는 섬. 연평도를 구성하는 크고 작은 두 섬 가운데 큰 섬으로, 부근 바다는 우리나라의 삼대 어장의 하나이며, 조기잡이의 중심지이다. 면적은 7.03㎢. 우리말샘

주2

땅이 약간 언덕진 특성. 우리말샘

주4

숲과 들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주식에 곁들여 먹는 음식. 밥에 딸린 반찬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