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호만고 ()

목차
관련 정보
월호만고
월호만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유남규의 제문 · 기 · 서(序) · 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유남규의 제문 · 기 · 서(序) · 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1책. 필사본. 필사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나 가장 뒤에 쓰여진 글이 1885년의 것이므로 대개 그 이후로 짐작된다. 체재를 갖추지 못한 고본(稿本)이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제문 27편, 기(記) 8편, 축문 2편, 서(序) 16편, 사(辭) 1편, 상언(上言) 1편, 묘지명 3편, 묘비 1편, 묘지 3편, 묘표·찬(讚)·의(疑)·전(傳)·변(辨)·행장 각 1편, 서(書) 2편, 서후(書後) 2편, 사적(事蹟)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제문에는 기우제문 18편이 있는데, 이는 저자가 지방관으로 있을 때 쓴 것이다.

서(序)의 「사은시회서(四隱詩會序)」는 금화(金華)의 열천(洌泉)에 모여 한 달에 한 번 시회를 가질 것을 기약하는 내용이다. 「양주유생등상언(楊州儒生等上言)」은 이정영(李正英)의 처 오씨의 절의를 찬양하며 정려(旌閭)로 포상하여줄 것을 상언한 글이다.

「최열부전(崔烈婦傳)」은 강릉의 최씨가 죽음으로 절개를 지킨 일을 높이 평가하여 기록한 것이다. 「김령사적(金鈴事蹟)」은 선조 유영경(柳永慶)이 임진왜란 당시 경상좌감사에 재임할 때 그를 도와준 안동향리 김령에 대한 기록으로, 왕이 그의 공을 높이 사 특별히 향리를 면하도록 하였다는 것과 유영경의 단서철권(丹書鐵券)이 김령의 후손에 의하여 전하여지고 있다는 내용이다.

「낙봉공유허비각기(駱峯公遺墟碑閣記)」는 선조인 유등(柳登)의 비각을 세우며 그의 행적을 찬양한 글로서, 권말에 수록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구선희(고려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