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구곡 ()

목차
관련 정보
시용향악보 / 유구곡
시용향악보 / 유구곡
고전시가
작품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이칭
이칭
비두로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내용

‘비두로기’라고도 한다.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실려 있다. 예종은 「버국새[伐谷鳥]」를 지어 궁중에 있는 교방기생(敎坊妓生)들에게 부르게 하였는데, 이것이 『시용향악보』에 실려 있는 「비두로기노래」일 것이라는 설이 있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비두로기 새ᄂᆞᆫ

비두로기 새ᄂᆞᆫ

우루믈 우루ᄃᆡ

버곡 댱이ᅀᅡ

버곡 댱이ᅀᅡ

난 됴해

이 노래가 지니고 있는 뜻은 “비두로기 새도 울기는 하지마는 버국새(뻐꾹새의 옛말) 울음소리야말로 나에게는 참으로 좋더라”라는 것이다. 남들을 감동시키는 일을 두고 “세상을 울린다(鳴於世)”라고 표현하고, 그 사람을 두고는 울기를 잘 하는 사람(善鳴者)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울음이란 새의 울음에 비유된 것이다. 임금의 잘못을 말하는 벼슬아치를 간관(諫官)이라고 하는데, 임금이 화를 내지 않고 곧바로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그것을 고치게 만드는 이를 일등간관이라고 일컫는다. 그 일등간관을 대충 ‘봉황새의 울음소리’라고 말하는 것이다.

비두로기새는 가냘픈 소리로 울 뿐만 아니라, 잘 울지 못하는 새이다. 비유하건대 비두로기의 울음소리는 간관으로서 자격이 없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맑고 부드러운 소리를 내면서 오래도록 잘도 우는 새가 버국새이다. 간관의 직분을 게을리하지 않기 위하여 임금을 보고 곧바로 울어젖히는 이를 버국새간관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것은 즉, 예종이 자신의 허물과 정치의 잘잘못을 들을 수 있는 길을 넓히고자 하였으나, 간관들이 오히려 임금을 두려워하여 임금의 잘못을 이야기해주지 않자 그 간관들을 넌지시 타일러주기 위하여 울기를 잘하는 「버국새」를 지었던 것이다( 『高麗史』 樂志). 그러므로 이 노래의 속뜻은 “나를 간(諫)하는 간관들이 봉황새 간관에는 이르지 못하더라도 버국새 간관이라도 되어달라.”는 부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동문선(東文選)』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나은문집(蘿隱文集)』(여성거)
「유구곡고」(권영철, 『어문학』3, 195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