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천동산신제 ()

목차
관련 정보
대전 유천동 산제당 정면
대전 유천동 산제당 정면
민간신앙
의례·행사
국가유산
대전광역시 중구 유천동에서 산신에게 제를 올리는 마을제사. 산신제.
시도무형유산
지정 명칭
유천동산신제(柳川洞山神祭)
분류
무형유산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대전광역시 시도무형유산(1997년 01월 09일 지정)
소재지
대전광역시 중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전광역시 중구 유천동에서 산신에게 제를 올리는 마을제사. 산신제.
내용

1997년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농사를 짓던 시절에는 해마다 음력 동짓달에 길일(吉日)을 택하여 마을 뒷 편 둔덕에 있는 산신당에서 산제를 지냈다. 처음에는 소나무 아래에서 산제를 모셨으나, 그후에 산제당을 건립하였다.

넓고 평탄한 농경지만 펼쳐져 있는 마을로, 산신당이 있는 둔덕은 가장 높은 곳이었다. 그리고 이 둔덕은 대전의 진산(鎭山)처럼 여겨지는 보문산의 주령(主嶺)과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산제당에는 노송(老松) 아래에 지팡이를 짚고 있는 백발노인과 그 시종으로 보이는 호랑이를 그린 산신도를 모시고 있다. 백발노인은 보문산신이다.

한편 음력 정월 열 나흗날에는 마을 입구의 선돌형 장승에 거리제를 지냈다. 그러나 도시화에 따른 급격한 변화를 통하여 산제와 거리제도 많이 변모하였다. 우선 마을 자체가 완전히 시가지로 바뀌어서 마을공동체의 분위기는 전혀 없어졌고, 따라서 주민들의 자발적 의지에서보다는 산신제보존회가 전통문화보존의 차원에서 산제를 주관하는 형편이다.

제일(祭日)도 음력 동짓달 초사흗날로 고정하였고, 시간도 자정이 불편하다 하여 초저녁에 지낸다. 산신당도 지금은 주택가의 평평한 대지 위에 자리하고 있어서 예전의 모습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선돌형 장승도 대로변에 있다가 최근에 동사무소 마당으로 옮겼다. 현재 산신제는 산신제보존회에서 주관한다.

보존회는 마을의 유향계 회원이 운영하는데, 이들 중에 생기복덕(生氣福德)을 가려 제관(祭官) · 축관(祝官) · 집사(執事) 3명을 선정한다. 제의 절차는 일반 가정의 제사와 유사하다. 제물을 진설하고 분향하여 강신(降神)한 다음 재배(再拜)하고, 초헌 후에 독축을 하고 아헌(亞獻)과 종헌을 올리며, 이어서 첨작(添酌)을 하고 소지를 태운다. 그 밖의 사항은 일반 마을의 제의와 비슷하다.

유천동은 대전지역에서 가장 전형적인 산제와 거리제를 모시는 한 마을이다. 음력 동짓달에는 추수감사제의 성격으로 상당제(上堂祭)인 산신제를 모시고, 음력 정초에는 신년제(新年祭)로서 거리제를 치른다. 한국의 중부지역에서 흔히 보여지는 마을신앙의 이중구조가 잘 나타나 있다. 한편 현대화된 도시의 한복판에서 마을의 원주민들이 주동이 되어 산신제를 소멸시키지 않고 지키려는 노력은 나름대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