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효 ()

목차
관련 정보
봉암집 / 64괘도
봉암집 / 64괘도
유교
개념
『주역』의 64괘를 구성하는 6개의 획을 가리키는 역학용어. 효(爻).
목차
정의
『주역』의 64괘를 구성하는 6개의 획을 가리키는 역학용어. 효(爻).
개설

효에는 음효(陰爻, --)와 양효(陽爻, ─)가 있다. 음효와 양효 3개가 모여서 구성된 괘를 소성괘(小成卦)라 하는데 복희팔괘(伏羲八卦)가 그것이고, 6개가 모여서 구성된 괘를 대성괘(大成卦)라 하는데 『주역』의 64괘가 그것이다.

내용

육효에 의한 대성괘의 구성은 『주역』「계사전상(繫辭傳上)」 11장에 보이는 대로다. “역(易)에 태극이 있는데, 이것이 양의(兩儀)를 낳고, 양의는 사상(四象)을 낳고, 사상은 팔괘를 낳는다.(易有太極, 是生兩儀, 兩儀生四象, 四象生八卦)”는 말과 “팔괘가 이루어지니 상(象)이 그 안에 있고, 인(因)하여 거듭함에 효(爻)가 그 안에 있다.(八卦成列, 象在其中矣, 因而重之, 爻在其中矣)”라는 말에 의해 설명된다.

효의 순서는 아래에서 위로 올라간다. 맨 밑의 효를 초효(初爻), 그 다음 효를 차례대로 이효(二爻)·삼효(三爻)·사효(四爻)·오효(五爻)·상효(上爻)라 한다. 여기에 다시 음양의 구별을 두어 이름을 붙인다. 즉, 초(初)·이(二)·삼(三)·사(四)·오(五)·상(上)으로 위치를 나타내고, 양수의 대표인 구(九)와 음수의 대표인 육(六)으로 음양을 표시하고 있다.

육효에는 변화·변동·삼재(三才: 天·地·人)의 뜻이 있다. 『주역』「繫辭傳下(계사전하)」 10장에 “역은 크고 넓어 천도(天道)·인도(人道)·지도(地道)가 있다. 이 삼재를 두 번 하므로 여섯이 되니, 여섯은 곧 삼재의 도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은 육효에 삼재와 삼재의 음양 변화의 뜻이 있음을 보여 준다. 그래서 세 효로 이루어진 팔괘는 모양[象]을 보여주고, 여섯 효로 이루어진 64괘에서는 모양의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고 한다.

참고문헌

『주역대전(周易大全)』
『주역절중(周易折中)』
『先秦易學史』(高懷民, 臺灣 商務印書館)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