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지문덕 ()

현대문학
작품
1908년, 신채호(申采浩)가 지은 전기(傳記).
이칭
이칭
大東四千載第一大偉人乙支文德
작품/문학
간행 연도
1908년
작가
신채호
원작자
신채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을지문덕』은 1908년에 신채호(申采浩)가 지은 전기이다. 이 작품은 비평과 사론(史論)의 비중이 강화된 전기로, 역사적 실증과 비타협적 민족주의를 담은 논설을 결합하여 영웅의 출현과 독자들의 각성을 촉구했다. 국한문판과 한글판을 같이 출간해 한문 지식이 없는 독자들까지 포괄하려 했다.

정의
1908년, 신채호(申采浩)가 지은 전기(傳記).
서지사항

『을지문덕』은 1908년 광학서포(廣學書舖)에서 간행되었다. 원제목은 "대동사천재 제일대위인 주1이며 5월에는 국한문본, 7월에는 순 한글본으로 발간되었다. 안창호(安昌浩) · 변영만(卞榮晩) · 이기찬(李基燦) 등의 주10이 붙어 있는데, 영웅 출현을 염원하는 당시의 풍조와 함께 민족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의지가 나타나 있다.

구성과 내용

『을지문덕』의 내용은 본론 15장과 서론 ·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고구려와 수나라의 대립과 전쟁을 배경으로 을지문덕의 생애와 사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을지문덕의 역사적 중요성에 비해 기존 역사서의 기록이 매우 부족하므로, 일대기적 구성이라는 전기의 일반적 구성이 아닌 한국과 중국의 문헌 조사에 근거한 논문과 저자 신채호의 비타협적 민족주의를 담은 논설과 비평이 조합된 형태로 작성되었다.

이 책의 차례는 서론, 제1장 을지문덕 이전의 주2 관계, 제2장 을지문덕 시대의 주3 형세, 제3장 을지문덕 시대의 열국(列國) 상태, 제4장 을지문덕의 주4, 제5장 을지문덕의 주5이다. 제6장은 을지문덕의 외교, 제7장 을지문덕의 주6, 제8장 을지문덕의 수완하(手腕下)의 적국(敵國), 제9장 주7의 성세(聲勢)와 을지문덕, 제10장 주8의 을지문덕, 제11장 살수(薩水) 대풍운(大風雲)의 을지문덕, 제12장 성공 후의 을지문덕, 제13장 주9의 을지문덕, 제14장 을지문덕의 인품, 제15장 무시무종(無始無終)의 을지문덕, 결론 등으로 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이 출현한 대한제국기에는 국민 국가를 향한 이념이 고조되었으나, 지속된 국가정체성의 근거인 고유한 역사와 문화는 대중이 공유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 못했다. 을지문덕, 이순신, 세종대왕 등 현재 우리가 한국사의 상징이라 떠올리는 모든 존재들은 지식과 교육이 부족한 대부분의 대한제국 대중들에게 그 생애와 역사적 위상을 파악하기 어려운 이름뿐인 존재들이었다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노력이 『을지문덕』이었으며 그에 대한 역사적 기억의 공유가 체계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이 책은 논설, 역사서 및 문학의 역할을 포괄한 작품으로 국민 국가를 위한 영웅의 탄생을 염원하고 있다. 한문 지식이 부족한 다수의 대중을 배려해 순 한글판을 같이 출판한 것은 대한매일신보가 국한문판과 동시에 국문판을 같이 발행한 것과 동일한 취지를 가진다. 신채호가 독립운동의 지사이자 민족사를 추구한 역사가일 뿐 아니라 한글 위주의 대중매체를 개척한 언론인이란 점을 보여준다. 한편, 국한문판의 주요한 역사 논증이 한글판에 생략되는 등 한문 지식을 경계로 독자들이 계층화된 양상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단재신채호전집편찬위원회, 『단재신채호전집』 4 (독립기념관, 2007)

논문

김성수, 「신채호의 영웅 전기와 근대적 글쓰기 기획-『을지문덕』의 글쓰기방식 재검토-」 (『민족문학사연구』 41, 민족문학사학회, 2009)
양진오, 「고구려 영웅과 역사의 발견-신채호 소설을 중심으로-」 (『어문학』 95, 한국어문학회, 2007)
임상석, 「신채호의 영웅서사 역술과 대한제국기 언론매체의 국문 모색-『을지문덕』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60, 우리어문학회, 2018)
주석
주1

"대동 역사 천년의 제일 큰 위인, 을지문덕"이라는 의미이다.

주2

한국과 중국.

주3

고구려와 수나라.

주4

굳센 기백.

주5

웅대한 계략. 우리말샘

주6

군사에 관련된 장비. 또는 그 장비를 준비하는 일. 우리말샘

주7

수나라 도적.

주8

용과 범처럼 변화무쌍함.

주9

'옛날 역사가들이 단편적으로 파악한'이라는 뜻이다.

주10

책이나 논문 따위의 첫머리에 내용이나 목적 따위를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