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양덕리 유적 ( )

목차
관련 정보
음성 양덕리 고인돌 유구 노출
음성 양덕리 고인돌 유구 노출
선사문화
유적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조각이 출토된 고인돌. 지석묘.
이칭
이칭
거북바위
목차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조각이 출토된 고인돌. 지석묘.
내용

중부고속도로 문화유적조사의 일환으로 충북대학교 발굴단이 1986년 4월에 발굴 조사하였다.

마을사람들이 ‘거북바위’라고 부르며 신성시했던 이 고인돌의 덮개돌은 30t쯤 되는 반성화강암으로, 크기는 310㎝×290㎝×140㎝이다. 풍요석으로 쓰였던 덮개돌에는 여러 곳에 손질된 흔적을 볼 수 있으나, 풍화침식에 의해 상당히 마멸되었다. 덮개돌은 원래 유적에서 1.5㎞쯤 떨어져 있는 덜널기마을에서 당시 사람들이 덮개돌로 쓰기 위해 옮겨온 것으로 해석된다.

무덤은 곽을 짜듯이 네모난 돌로 짜 맞춘 독특한 형식이다. 유구의 방향은 북서 40°로 밝혀져 유구와 덮개돌의 방향은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서쪽 굄돌이 파괴된 데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파괴된 서쪽 굄돌은 반상화강암으로서 유구 밖의 주위에 40조각으로 흩어져 있게 된 것은 덮개돌이 미끄러지면서 밀려서 그렇게 된 것으로 밝혀졌다. 북쪽 굄돌은 미립질 화강암의 판자돌(350㎏)로 동·서쪽 굄돌과는 달리, 유구의 형성에 있어서 마감처리가 불분명한 점이 관찰된다. 남쪽 굄돌은 표력(漂礫) 크기의 판자돌을 4겹으로 쌓아 막음돌로 하였다.

발굴을 통해 유구의 축조순서를 보면, 맨 아래바닥에 20∼30㎝ 크기의 모난돌과 판자돌을 깔고, 그 위에 약 5㎝ 가량의 고운 흙을 깐 뒤, 그 위에 주검을 놓았던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유구 안의 북쪽에서 출토된 베갯돌은 이런 사실을 뒷받침해주며, 아울러 머리의 방향도 북쪽임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출토유물은 굵은 모래가 섞인 비짐흙을 사용한 민무늬토기조각 1점인데, 이 고인돌의 연대를 짐작하게 해준다. 고인돌이 주로 강가나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는데 비해, 이 유적의 고인돌은 내륙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중부 고속도로기념관 앞에 이전 복원되었다.

참고문헌

「음성양덕리유적발굴조사보고」(이융조, 『중부고속도로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 충북대학교박물관, 198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융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