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리향제줄풍류 ()

목차
관련 정보
이리 향제줄풍류
이리 향제줄풍류
국악
작품
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 이리(지금의 익산)지방에 전승되는 줄풍류.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이리(지금의 익산)지방에 전승되는 줄풍류.
내용

1985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현악영산회상을 줄풍류라 하는데, 지방에 전승되는 줄풍류를 국립국악원 줄풍류와 구별하기 위하여 향제줄풍류라 이른다.

옛날에는 각 고장에 줄풍류가 전승되었으나 지금은 이리(지금의 익산)를 비롯하여 정읍 · 전주 · 구례 등지에 풍류객이 있어 겨우 향제줄풍류가 명맥을 잇고 있을 뿐이다.

이리에서는 1940년대부터 지방풍류객들이 풍류회를 가지기 시작하였는데, 1965년 이리정학원을 설립하고 풍류회가 이어오다가 1970년대에는 이리풍류객 강낙승(姜洛昇)을 중심으로 활발히 연주활동을 가졌다. 1985년 이리줄풍류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고 강낙승이 가야금 기예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이리향제줄풍류는 거문고 · 가야금 · 양금 · 대금 · 단소 · 세피리 · 해금 · 장구 등 음량이 작은 악기들로 편성되었고, 다스름 · 본영산 · 중영산 · 잔영산 · 가락덜이 · 상현도드리 · 잔도드리 · 하현도드리 · 염불 · 타령 · 군악 · 계면 · 양청 · 우조 · 굿거리와 여러 음악이 조곡(組曲)으로 구성되었다.

각 음악의 장(章) 구분과 그 장단수를 보면, 다스름은 장 구분이 없고 무장단이며, 본영산은 5장 17각, 중영산은 5장 18각, 잔영산은 5장 18각, 가락덜이는 3장 15각, 상현도드리는 3장 26각, 잔도드리는 7장 85각, 하현도드리는 3장 26각, 염불은 5장 51각, 타령은 5장 32각, 군악은 7장 48각, 계면은 7장 43각, 양청은 7장 55각, 우조는 7장 45각, 굿거리는 3장 45각으로 구성되었다.

향제줄풍류는 처음에 다스름이 있고 끝에 굿거리가 딸리는 것이 국립국악원 줄풍류와 다르고, 또 장별과 장단구분이 좀 다르다. 선율은 각 악기별 악사들이 저마다 음악을 구사하는 쪽으로 발전되었다.

이리줄풍류는 익산 · 김제 · 정읍 · 전주 등지에 옛 풍류객의 음악으로 간직되어 있다. 강낙승은 2010년 2월 13일, 이보한은 2002년 10월 5일 사망으로 보유자가 해제되었으며, 현재는 보유자 없이 전수교육조교 2명만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향제(鄕制)줄풍류보(風流譜)』(이리향제줄풍류보존회, 1990)
『향제줄풍류』(문화재연구소, 1985)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