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연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홍문관수찬, 사간원정언, 영흥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원량(元亮), 여량(汝亮)
구포(瞿圃)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58년(영조 34)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전주(全州)
주요 관직
홍문관수찬|사간원정언|영흥부사
정의
조선 후기에, 홍문관수찬, 사간원정언, 영흥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량(汝亮), 호는 구포(瞿圃). 세종의 아들인 광평대군 이여(廣平大君 李璵)의 후손이며, 이현록(李顯祿)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이권중(李權中)이고, 아버지는 대사헌 완성군(完城君) 이의행(李義行)이며, 어머니는 장민익(張民翼)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한양에서 자랐으며, 1790년(정조 14) 성균관의 유생으로 있으면서 전강(殿講)의 수석이 되었고, 그 해에 증광문과전시에 직부(直赴)하여 급제하였다. 승문원부정자에 임명된 이래 홍문록·도당록(都堂錄: 홍문관의 수찬(修撰)·교리 등을 선발하기 위하여 의정부에서 작성한 제2차 추천기록)에 올랐으며, 사간원정언으로 있으면서 민생의 어려움을 이유로 금주를 주장하여 왕의 허락을 얻는 등 활발한 언론활동을 하였다.

1797년 사헌부집의로 있을 때 장문의 상소를 올려 시폐와 왕의 잘못을 숨김없이 극간하였다. 이 상소가 들어오자 대신을 비롯하여 사헌부·사간원 양사에서 시국을 비방한 죄로 끊임없이 탄핵하였으나, 정조가 홀로 이명연의 충성됨을 알아 끝까지 옹호하여주었다.

그 뒤 누차 불렸으나 조신들의 반대로 내직에 들어오지 못하고, 영흥부사를 끝으로 관직생활을 마쳤다. 정조가 세상을 떠난 뒤 두문불출하고 다시는 세상일을 듣지 않았다. 성품이 엄정하여 절의를 숭상하였고, 말만 앞세우고 실천하지 않음을 가장 미워하였다. 문장이 웅대하여 붓을 한번 들면 수천언(數千言)을 썼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노주집(老洲集)』
집필자
우인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