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신편 ()

목차
관련 정보
이수신편
이수신편
과학기술
문헌
조선후기 학자 황윤석이 백과사전 형식으로 저술한 과학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황윤석이 백과사전 형식으로 저술한 과학서.
내용

황윤석(黃胤錫) 편저. 23권. 목활자본. 이수란 이학(理學)의 총체, 물리연원(物理淵源)의 뜻이다.

이 문집의 방대한 내용은 태극도(太極圖) 권1로부터 시작하여 이기(理氣) · 태극(太極) · 천지(天地) · 천도(天度) · 역법(曆法) · 일월(日月) · 성신(星辰) · 음양(陰陽) · 오행(五行) · 지리(地理) · 주역(周易) · 주자도설(朱子圖說) · 율력지(律曆志) · 천문지(天文志) · 오행지(五行志) · 성리성명(性理性命) · 통서(通書) · 예악(禮樂) · 홍무정운(洪武正韻) · 훈민정음(訓民正音) · 속대전(續大典) · 구구방수도(九九方數圖) 등의 고전적 교양과 치도(治道) · 수양(修養) · 독서(讀書) · 처세(處世), 심지어는 일본의 문자인 가나(カナ)에 이르기까지 20권에 수록하고 있다.

수학에 관한 저술로는 마지막의 3권, 즉 권21 · 22 『주학입문(籌學入門)』, 권23의 『주학본원(籌學本原)』이 있다. 황윤석은 30세에 사마시에 급제하고 관계에 들어온 이후에는 익찬(翊贊, 정6품)이라는 하급관직을 거쳤을 뿐이지만, 실학기의 대표적 계몽학자의 한 사람으로 죽은 다음 명현으로 모셔질 만큼의 주1였다.

산서(算書)에 대한 조예도 상당하였던 모양이지만 아마추어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그것은 수학서를 엮는 태도가 전혀 몰개성적인 망라주의라는 점에서도 알아차릴 수 있다. 그러나 산서 자체로서의 의의가 적은 백과전서식인 편집은 오히려 그 공평성 때문에 수학사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즉, 이 책의 내용이 당시 수학계의 사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전제 밑에서 판단한다면, 다음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첫째, 『이수신편』 23권 중, 특히 3권을 수학에 할당시키고 있다는 비중의 크기, 그리고 이 문집 속에서 취급하고 있는 과학의 영역이 수학과 주2에 한정되어 있다는 것은 실학자들의 과학관의 유일한 원천이 수학이었음을 뜻한다.

둘째, 수학의 주류는 여전히 『상명산법』 · 『양휘산법』 · 주3이 중심이었는데, 『경국대전』에 규정된 산학이 당시까지도 지속적으로 실현되어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셋째, 주4 · 『수리정온(數理精蘊)』 등 유럽계의 근대적인 수학서가 소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영향이 거의 나타나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것은 여전히 전통적인 고전수학의 유형이 전적으로 지배하고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중에서 국어학과 관련된 내용을 들면 다음과 같다. 권9의 「화담집초」에 들어 있는 서경덕(徐敬德)의 ‘황극경세성음해(皇極經世聲音解)‘와 ‘발전성음해미진처(跋前聲音解未盡處)‘, 그리고 권12의 「황극경세서」 등에는 언어철학 및 운서에 대한 이론이 소개되어 있으며, 권20의 「운학본원」에는 성운학(聲韻學)의 근원을 밝히고자 한 작업이 드러나 있다.

특히, 권20의 부록으로 세종대왕훈민정음본문자모(世宗大王訓民正音本文字母)와 홍무정운자모(洪武正韻字母), 몽어노걸대12자두문(蒙語老乞大十二字頭文) 등의 자료와 해설을 붙이고 있어서 국어학연구의 귀중한 문헌이 되고 있다. 이 책은 1975년 아세아문화사에서 영인한 바 있다.

참고문헌

『한국수학사』(김용운·김용국, 열화당, 1982)
『국어학사』(유창균, 형설출판사, 1988)
주석
주1

뭇사람의 존경을 받는 이름난 유학자. 우리말샘

주2

책력과 산술에 관한 학문. 우리말샘

주3

1299년에 중국 원나라 주세걸이 지은 수학책. 주로 해법(解法)에 따라 분류되어 있으며, 대부분 산술을 취급하고 있으나, 하권(下卷)에는 대수학의 일종인 천원술을 기록하고 있다. 모두 3권. 우리말샘

주4

중국 명나라 때 이지조(李之藻)가 쓴 수학책. 중국 전통 수학과 서구 근대 수학의 결합을 시도한 책으로 평가된다. 전편(前編), 통편(通編), 별편(別編)으로 구성되어 있다. 10권.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5)
집필자
김용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