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성 ()

오천집 / 권5 소차 부분
오천집 / 권5 소차 부분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예조판서,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고(子固)
오천(梧川)
시호
효강(孝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92년(숙종 18)
사망 연도
1759년(영조 35)
본관
경주(慶州)
주요 관직
부수찬|교리|승지|이조참의|홍문관부제학|이조참판|예조판서|좌의정|영의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예조판서,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고(子固), 호는 오천(梧川). 이항복(李恒福)의 5세손이며, 이시술(李時術)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세필(李世弼)이고, 아버지는 좌의정 이태좌(李台佐)이며, 어머니는 홍득우(洪得禹)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11년(숙종 37) 진사가 되고, 1727년(영조 3)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3일 만에 예문관설서가 되었다. 이듬 해 경연(經筵)의 전경(典經)으로 시독관 박문수(朴文秀)와 함께 붕당 200년의 폐를 논하였다. 그 해 경상도암행어사가 되어 민폐를 일소했으며, 이인좌(李麟佐)의 출가한 자매가 문경에 갇혀 있음을 보고 부당함을 상소해 석방하게 하였다.

그 뒤 부수찬·헌납·수찬·교리 등을 거쳐 1729년(영조 5) 불법 수령 적발의 사명을 띠고 다시 영남어사로 파견되었고, 함경남도에 이어 북도안집어사(北道按集御史)로 다녀와 응교가 되었다. 1731년(영조 7) 관서어사로 파견되어 양덕현감 남윤관(南胤寬)을 파직시키고, 개천군수 홍태평(洪泰平), 맹산현감 이희하(李喜夏), 황주목사 이성제(李誠躋)에게 포상할 것을 상소하였다.

1733년(영조 9) 승지·대사간·이조참의를 거쳐 대사성이 되었고, 이듬 해 홍문관부제학이 되어 양역(良役)의 폐를 상소하였다. 1735년(영조 11) 다시 이조참의가 되어 화폐 사용의 편리함을 논하고, 이듬 해 탕평책에 반대하다가 파직되었으나 다시 기용되어 경기도관찰사·동지의금부사가 되었다.

1738년(영조 14) 이조참판, 1741년(영조 17) 부사직, 1742년(영조 18) 충청도관찰사, 1744년(영조 20) 이조판서가 되었으며, 이어 예조판서·형조판서·대사헌·개성부유수, 1749년(영조 25)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우빈객(右賓客), 1752년(영조 28) 좌의정에 이어 영의정이 되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753년(영조 29)에 평소 세자와 마찰을 빚었던 김상로(金尙魯) 등의 간계로 영의정을 사직하였다. 1753년 판중추부사을 거쳐 1757년(영조 33) 내의원봉상시도제조(內醫院奉常寺都提調) 때 인원대비(仁元大妃: 숙종계비 김씨)의 상을 당해 의례의구조(疑禮儀九條)와 종묘 혼전(魂殿)의 예의칠조를 올려 이를 시행하게 하였다.

1758년(영조 34) 영중추부사가 되어 장헌세자(莊獻世子)를 잘 보살폈다. 장조(莊祖)의 묘정에 배향되었고, 저서로는 『오천집(梧川集)』이 있다. 시호는 효강(孝剛), 뒤에 문충(文忠)으로 개시(改諡)되었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국조방목(國朝榜目)』
『금석록(金石錄)』
『은파집(恩坡集)』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