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탕 ()

목차
의약학
개념
비위가 허한하여 생기는 복통 등에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비위가 허한하여 생기는 복통 등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원래는 명나라 때의 『만병회춘(萬病回春)』·『보유방(補遺方)』·『의학입문(醫學入門)』에 수재되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동의보감』과 『제중신편(濟衆新編)』 및 『방약합편(方藥合編)』에 실려 있다.

처방의 구성은 인삼·백출·건강포(乾薑炮) 각 7.5∼8.0g, 감초 4.0g으로 네 가지 생약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인삼·백출·감초는 보기약(補氣藥)이며 건강은 거한약(祛寒藥)이다. 이중탕에 소건중탕을 합치면 건리탕(健理湯)이 되고, 오령산을 합하면 이령탕(理苓湯)이라 한다.

원래 본방(本方)만 약용하는 예는 드물고 대개는 합방(合方)에 의하여 활용되고 있다. 주치(主治)를 보면 치태음복통자리불갈(治太陰腹痛自利不渴)에 적용한다고 하였으며, 특히 태음(太陰)에 배가 아프고 자리(自利: 저절로 설사나는 것)하며 갈(渴)하지 않은 경우에 쓰인다고 한다.

지금도 한방에서는 이중탕을 근본으로 하여 다른 생약과 배합하여 즐겨 사용되고 있는 처방의 하나이다.

참고문헌

『동의보감(東醫寶鑑)』
『제중신편(濟衆新編)』
『현대방약합편(現代方藥合編)』(육창수, 계축문화사, 197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