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쾌대 ()

회화
인물
해방 이후 「조난」 · 「걸인」 · 「송아지」 등을 그린 화가. 서양화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3년 1월 16일
사망 연도
1965년 2월 20일
출생지
경상북도 칠곡
정의
해방 이후 「조난」 · 「걸인」 · 「송아지」 등을 그린 화가. 서양화가.
개설

경북 칠곡 출신. 서울의 휘문고보 재학시절인 1933년 일본의 데이코쿠미술학교〔帝國美術學校〕에 유학하여 1938년에 졸업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38년 도쿄에서 열린 제25회 니카텐〔二科展〕에 「운명」을 출품해 입선한 이후 3년 연속 입선하였다. 당시의 작품은 개성적인 표현 감각과 예민한 조형 의식으로 전형적인 한인 여인상이라는 주제에 치중되어 있었다.

1941년 도쿄에서 이중섭(李仲燮), 진환(陳瓛), 최재덕(崔載德), 문학수(文學洙) 등과 신미술가협회를 조직하고, 1944년까지 도쿄과 서울에서 동인전을 가졌다. 1945년 광복 직후에는 조선조형예술동맹 및 좌익의 조선미술동맹 간부가 되었다가 스스로 이탈하였다.

1947년 ‘진정한 민족예술의 건설’을 표방하면서 김인승, 조병덕, 이인성 등 18명으로 이루어진 조선미술문화협회를 결성하였고, 1949년까지 4회의 회원 작품전을 가졌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독도(獨島) 어민 참변 사건을 주제로 삼은 참담한 분위기의 사실적인 대작 「조난」(1948년)과 영웅적인 초인적 의지의 인간상을 표현한 「걸인」(1948)이 있다. 「군상Ⅰ-해방고지」도 같은 해에 완성하였다.

1949년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국전)에 서양화부 추천 작가로 참가하여 정물화 「추과(秋果)」를 출품하였다. 그러다가 1950년 6 · 25전쟁 직후, 서울에 급조되었던 남침 북한 체제의 남조선미술동맹에 적극 가담하였던 끝에 인민의용군으로 참전하다가 포로가 되어 거제 수용소에서 휴전을 맞이하였다. 하지만 남북 포로 교환때 자의로 북한을 택하여 넘어갔다.

북한에서는 조선미술가동맹 소속 화가로서 활동하면서, 1957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6회 세계청년축전에 「삼일운동」을 발표하고, 전국미술전람회에 「농악」을 출품하였다. 1958년 월북 화가 김진환과 함께 중국 인민지원군 우의탑에 벽화를 제작하였고, 1961년에는 국가미술전람회에 「송아지」를 출품해 2등상을 받았다.

이쾌대는 53세인 1965년 위천공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친형 이여성(李如星)도 민족적 사회주의 정당 활동을 하다가 월북하여 조선 미술사 연구와 조선화 창작 활동을 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0년 신세계 미술관에서 개최된 『해금작가 유화전』을 시작으로 하여, 1991년 『월북작가 이쾌대전』(신세계 미술관), 1992년 『월북작가 이쾌대 순회전』(대구 동아 미술관), 1993년 『회고전』(수원 문화회관)과 『유작전』(경기도 문화예술회관), 1995년 『이쾌대-낯선 작가를 향한 주목』(대구 대백프라자 갤러리) 등의 유작전이 열렸다.

참고문헌

『거장 이쾌대-해방의 대서사』(국립현대미술관 기획, 돌베개, 2015)
『월북 예술가 오래 잊혀진 그들』(이구열, 돌베개, 2006)
『이쾌대』(열화당, 1995)
『이쾌대전』(신세계미술관, 1991)
『한국근대회화선집-북으로 간 화가들』(금성출판사, 1990)
「월북작가 이쾌대의 생애와 작품」(김복기, 『근대한국미술논총』, 학고재, 199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